곽봉호
옥천군의원

[충청매일] 사마귀가 매미를 잡으려고 그것에만 마음이 팔려 자신이 참새에게 잡아먹힐 위험에 처해 있음을 알지 못하였다는 지금 당장의 이익만을 탐하여 그 뒤의 위험을 알지 못함을 비유적으로 장자 ‘외편’의 ‘산목’편에 전합니다. 하루는 장자가 조릉(雕陵)이라는 곳의 울타리 안에서 거닐고 있다가 이상한 모습의 까치 한 마리가 남쪽으로부터 날아오는 것을 보았습니다.

날개의 폭이 일곱 자나 되고, 눈의 둘레는 한 치나 되었다고 하니 아무튼 엄청나게 큰 새였던 모양입니다. 새는 장자가 있는지 없는지는 관심조차 없는 듯 그의 이마를 스치고 날아가 밤나무 숲에 앉았습니다. 장자는 새의 행동이 어이가 없었습니다.

“이게 무슨 새인가? 날개는 커도 높이 날지 못하고, 눈은 커도 제대로 보지 못하니!”

장자는 옷자락을 걷어 올리고 재빨리 다가가 활을 쏘려고 새를 겨누기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겨누다 보면 대상을 자세히 집중해서 보게 마련이죠. 그 덕에 이상한 모습을 발견했습니다.

그늘에 매미가 한 마리 앉아서 자신의 몸조차 잊은 듯 편하게 쉬고 있는데 그 뒤에 사마귀 한 마리가 매미 잡으려는 생각에 팔려 숨어서 매미만 바라보고 있는 게 아닌가요. 그리고 그 뒤에는 예의 그 놈의 까치가 사마귀를 노리느라 정신이 팔려 있었습니다. 장자는 이 모습을 보고 탄식했죠.

“참으로 어리석도다. 매미는 그늘을 즐길 줄 알지만 자신을 노리는 사마귀가 있는 것을 모른다. 사마귀 또한 매미를 잡겠다는 생각에만 빠져 까치의 밥이 될 줄을 모르고, 까치는 사마귀에 정신이 팔려 나의 사냥감이 되는 것을 모르고 있다. 아, 얼마나 어리석은 존재들인가!”

문득 두려운 생각이 든 장자는 그곳을 벗어나기 위해 일어섰습니다.

바로 그때 뒤에서 화난 사람의 목소리가 들려왔죠.

“이놈, 거기 누구냐? 여기는 아무나 들어올 수 없는 곳이다.”

결국 장자 자신도 까치에 눈이 팔려 들어가서는 안 될 곳에 갔던 셈입니다. 장자는 집으로 돌아와 3개월 동안이나 집 밖으로 나오지 않았다고 하네요.

이 일화를 통해 장자가 말하기를 “모든 사물은 본래 서로 해를 끼치는 것이며, 이(利)와 해(害)는 서로가 서로를 불러들이는 것”이라고 말했다고 합니다.

오늘 탐(貪)이 제일 큰 이(利) 같지만 지나고 보면 자업자득한 소탐대실(小貪大失)의 해(害)가 될 수 있다는 말씀이라 이해합니다.

오늘 득(得)의 이(利)가 내일 실(失)의 해(害)가 될 수 있음이니~ 이미 취(取)했다고 생각하는 자들아 맘껏 웃으랴!

오늘 웃음과 내일 눈물을 구분할 수 없으니 이해(利害)를 어찌 선취(選取)하였다 웃을 수 있을까!

소탐대실을 주식으로 삼는 정치인들을 보면서 국민들은 단호한 결심을 했다. 근본적인 문제(국민의 생존권)를 제쳐두고 남 탓만 한다면 국민은 그들을 잡아먹는 사마귀(死魔鬼)로 변할 것이다. 정치인들이여! 교언영색(巧言令色)하지 마라! 국민을 위한 눌언민행(訥言敏行)에 힘써라!

대서 삼복(三伏)의 시기입니다.

몸보다 마음이 더 지치는 시절이고요. 시대(時代) 이해의 변곡점이 수상하여 한 잔 술 취(醉)한 눈으로 헤아려 봅니다만 무지의 한계에 막혀 잘 보이질 않네요.

의미 있는 삼복더위의 시기 맞으시길 바랍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