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번역가

[충청매일] 초나라의 현인으로 불리는 광접여는 공자의 사상을 자주 비평하였다.

“공자 그대는 도대체 인의도덕으로 세상에 무슨 유익한 일을 하겠다는 것이오? 출세와 벼슬만을 유용한 것으로 알아 그것이 사람을 해치는 일이라는 것을 왜 모르는 것이오? 어찌 유용한 것만으로 세상을 살 수 있단 말이오? 무릇 산에 있는 나무는 유용하기에 벌목을 당하고, 등불은 어둠을 밝히기에 자기 몸을 불태우고, 황기는 보약재로 유용하기에 뿌리 채 뽑히고, 옷은 도료로 쓰이니 함부로 꺾이는 것이오. 유용한 것만 알고 무용한 것을 알려고 하지 않으니 참으로 어리석은 생각이오.”

장자 또한 공자를 낮추어 평가하였다.

“공자가 말하는 유용하다는 것은 사실은 어리석은 꾀에 불가하다. 사람이 유용한 것만을 찾는다면 그것은 스스로 죽음에 다가가는 길이다. 정말로 사람에게 유용한 것은 바로 무용한 것이다.”

하루는 장자가 제자와 함께 어느 산길에 접어들었다. 마침 그곳에 웅장하고 무성한 큰 나무를 보았다. 그런데 부근에서 나무꾼들이 열심히 벌목을 하고 있는데 어느 누구도 이 큰 나무를 베려 하지 않았다. 장자가 일꾼에게 그 까닭을 물으니 그 나무는 잘라봐야 아무데도 쓸모가 없다고 대답했다. 이에 장자가 제자에게 말했다.

“저 나무는 쓸모가 없는 덕분에 자기 천수를 다 누리는 것이다.”

그날 저녁 장자는 친척집에 도착하여 하루를 묵게 되었다. 친척 식구들이 반갑게 맞으며 장자를 위해 집에서 기르던 기러기를 잡아 대접하려 했다. 마침 기러기가 두 마리였는데 장자가 어느 것을 잡을 것인지 물었다. 그러자 친척이 대답했다.

“한 마리는 잘 우는 놈이고 다른 한 마리는 잘 울지 않는 놈이지요. 그래서 울지 않는 놈이 필요가 없으니 그 놈을 잡아야지요.”

이것을 본 제자가 생각이 혼란스러워 장자에게 물었다.

“선생님, 앞에 말씀하셨던 큰 나무의 무용과 지금 기러기의 무용이 각기 다른 운명이 된 것을 저는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쓸모 있는 것과 쓸모없는 것 중 어느 것을 택해서 살아야겠습니까?”

이에 장자가 대답했다.

“유용하다고 해서 모두 진리가 아니고, 무용하다고 해서 모두 도라고 할 수 없다. 그렇다고 유용과 무용의 중간에 걸쳐져 있으면 이것도 아니고 저것도 아니니 그건 부족한 것이다. 자유롭고 행복하게 산다는 것은 남에게 잘난 척 하지 않고 명성을 알리려 하지 않고 남과 다투지 않고 자신의 몸과 마음을 어느 곳에 함부로 맡기지 않는 것이다. 그렇게 제대로 세상을 산다면 쓸모없는 것이 사실은 쓸모 있는 것이라는 걸 알게 되니 그 정도면 족한 인생이다.”

이는 ‘장자(莊子)’에 있는 인생의 묘수에 관한 이야기이다.

무용지용(無用之用)이란 아무 쓸모없어 보이는 것이 때로는 어느 것보다 유용하게 쓰인다는 뜻이다. 자신을 돌아봐서 한 해 동안 너무 유용한 것만을 찾아 살았다면 2020년 경자년(庚子年)에는 무용한 것에도 눈을 돌려 편안한 한 해를 누리기 바란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