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방주 수필가

[충청매일] 나뭇잎이 쌓여 성돌을 거의 덮었으니 발을 바로 디딜 수가 없다. 잘못 디디면 크레바스(crevasse)에 빠지듯 아주 깊은 나락으로 떨어질 것만 같다. 성돌 틈에서 뱀이 나오는 것을 많이 겪었기 때문에 등줄기에 땀이 흐른다. 아니면 발목이라도 골절될까봐 더 조심하며 걸었다.

무너진 돌무더기로 봐서 성은 상당히 높았었나 보다. 아무래도 6~9m는 되지 않았을까. 돌은 검은색으로 산화된 화강암이다. 매우 단단하다. 크기는 일정하지 않다. 그러나 사람이 들고 나르기 좋은 30㎝×40㎝ 정도 되는 자연석이다. 깎고 다듬은 흔적은 없으나 쌓기 좋은 면을 살려 쐐기돌을 박아가며 쌓았을 것이다. 조금이라도 축성의 방법을 짐작할 수 있는 곳을 찾아보았으나 없다. 성석 사이에서 기와조각이라도 발견될까 해서 나뭇잎을 헤집어 보아도 찾을 수 없다. 먼저 답사한 사람들이 이곳에서 기와조각과 토기조각을 찾았다 하니 그들은 참으로 행운이다.

성벽을 간신히 한 바퀴 돌고 성안으로 들어갔다. 내부는 봉우리가 없고 평평하다. 산봉우리를 다듬어 평평하게 만들고 그 곳에 건물을 지었을 것이다. 잡목이 우거져 헤아리기 어렵지만 대략 한 300∼400평정도 되어 보였다. 생각보다 훨씬 평평하다. 건물이 얼마나 많이 들어서 있었는지 모르지만 이곳에서 체조도 하고 훈련도 가능했을 것 같다. 나무로 땅을 파보니 해마다 떨어진 낙엽이 30㎝ 이상 쌓여서 썩었다. 지표조사를 하면 유물이 나올지도 모른다. 평평한 대지 위에 약간 움푹한 부분도 있다. 급수할 수 있는 곳으로 보인다.

나무 사이로 마을이 내려다보인다. 마을은 예나 지금이나 평화롭다. 성을 한 바퀴 돌아보니 여기서 신라 김용춘 장군이 고구려 군사 5천을 베었다는 것은 아무래도 과장 같아 보인다. 아니면 상당산성을 낭비성이라 했을지도 모른다. 이 성은 정북토성의 세곡을 지키고, 청주 읍성을 방어하며, 와우산토성의 배후 산성이라 할 수 있는 상당산성을 방어하는 전초기지라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나라의 옛 산성은 혼자 존재하지 않는다. 고리처럼 산성과 산성이 연결되어 있다. 그 연결 고리 역할을 하는 것이 성과 성 사이의 작은 석축 보루이다. 옛 성을 연구하는 학자들도 보루가 성과 성의 연결 고리라는 생각보다 자성(子城_으로서의 보조 역할만 생각한 것 같다. 숨어 있는 산성을 찾아내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역사서를 읽고 산성의 위치와 역할을 고증하는 일도 쉬운 일은 아니다. 때로 기분 좋은 일은 산성에 문외한인 내가 추정한 내용을 고고학자들도 똑같은 견해로 해석한 글을 읽을 때이다. 고명한 학자의 이론에서 잃어버렸던 나의 영감을 발견하는 일만큼 기분 좋은 일은 없다.

성 안에 낙엽을 깔고 한참 앉아 있었다. 멧돼지도 고라니도 다 어디로 갔을까? 오늘은 까마귀도 짖지 않는다. 산속에서는 고요가 사람을 더 소름 끼치게 한다. 내려오는 길을 찾았다. 마을은 한없이 고요하다.

이제 낭비성도 다녀왔다. 낭비성은 보민용 산성이 아니라 청주지역을 방어하거나 공격하기 위한성인 것만은 틀림없다. 그래서 그냥 이 성이 낭비성이라 믿으려 한다. 그렇게 생각하고 나니까 안내 표지판 하나 세워지지 않은 것이 매우 섭섭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