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방주 수필가

 

[충청매일] 낭비성 혹은 낭자곡성에 대하여는 여러가지 설이 있다. 낭비성이란 이름의 성이 청주시 청원구 북이면 부연2리, 토성리, 광암리에 걸친 해발 250m 야산에 남아 있는 석축 테메식 산성, 산성동 상당산성, 충주에 있는 산성, 파주시 적성면에 있는 성일 가능성이 있다고 학자들마다 주장이 다르다. 청주를 예로부터 낭비성, 낭자곡성, 낭성으로 불러왔고, 지금도 낭성면이 있으며, 삼국사기 대동지지 신증동국여지승람 등의 문헌에서 청주 지역을 낭비성이라 불렀고, 현재의 상당산성보다 부연리 석축 테메식 산성이 그것일 가능성을 강하게 시사하고 있다.

낭비성을 삼국 중 누가 쌓았는지에 관해서도 설이 많다. 고구려의 남하정책에 의해서 쌓았을 가능성도 있고, 고구려의 남하정책을 방어하기 위해 신라가 쌓았을 가능성도 있고, 백제가 신라로부터 한강 유역을 방어하기 위해서 쌓았을 가능성도 있어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태종무열왕의 아버지 김용춘 장군이 부장 김유신 장군과 함께 이곳에서 고구려의 군사 5천명을 목 베고 승리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으며, 훗날 후백제의 견훤이 이곳에 진을 치고 구녀성에 주둔해 있던 궁예와 싸웠다는 기록도 삼국사기에 남아 있다.

아무튼 낭비성의 위치를 고증해내는 것은 역사가들의 몫이라면 그렇게 문제되는 성을 찾아가는 것이 내 몫이라고 생각한다. 내가 가서 답사한다고 해서 여러 가지 학설 중에서 어느 하나가 맞는다고 고증해낼 능력은 없다. 다만 그런 역사 현장을 직접 찾아가 보고 싶은 것이다. 역사적으로는 매우 중요한 배경이었던 낭비성이 아직 확실하게 고증되지 못한 것 자체가 안타까운 일이다.

부연리 저수지 낚시터를 지나 꼬불꼬불 농로를 지나가니 부연2리 마을이 나왔다. 남향한 아담한 마을이다. 산성이 있을 법한 뒷산이 삼태기처럼 마을을 둘러싸고 있었다. 마을회관 겸 경로당 앞에 주차하고 산성의 위치를 가늠해 보았다. 마을의 진산처럼 보이는 산의 정상 부분에 나무가 자라지 못한 테두리가 보였다. 산성의 위치는 짐작했으니 이제 들머리를 찾아야 한다.

산 어귀에 다다르니 굴삭기가 파헤친 곳이 있다. 따라 올라가 보았다. 묘를 이장한 것 같다. 파묘 터를 지나자 길이 없어졌다. 성에 다니면서 묘를 만나면 길을 잃는 경우가 많다. 오늘도 그런가? 그런데 우거진 아카시나무 가지 속에 길이 있다. 아카시나무 가지 사이로 잡초가 누운 곳이 있다. 산불 감시원이 올라간 자국이다. 산에는 여름에도 겨울 눈 위처럼 발자국이 난다. 마지막 날망 가까이에 산소가 3기정도 또 있다. 산소 위에 쓰러진 고사목을 타고 넘으니 능선이다. 미국자리공이 키를 넘을 듯하다. 나무지팡이를 하나 주워 자리공을 헤치며 산불 감시탑으로 가보았다. 아무도 없다. 삼각점과 기준점만 있다. 풀은 허리까지 올라온다. 산성은 흔적도 없다.

다시 내려와 동쪽 산봉우리로 향했다. 길은 없고 고사목만 무너져 등마루 길을 가로 막고 있다. 활엽수 낙엽이 떨어져 길을 다 덮어 버렸다. 여기도 다 땅 속에 묻혔는지 성이 보이지 않는다. 이제 그만 돌아갈까 하는데 봉우리로부터 경사가 급한 비알에 돌이 굴러 있었다. 성석이다. 낭비성을 찾았다. 돌은 아주 무질서하게 굴러 제멋대로 흩어져 있고 그 위에 낙엽이 덮였다. 성의 윤곽을 전혀 짐작할 수 없다. 무너진 돌무더기를 밟으며 성벽 아래로 짐작되는 곳으로 걸어 보았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