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번역가

전국시대 사상가인 혜자가 장자(莊子)에게 말했다.

“위나라 왕이 내개 큰 박씨를 주어서 그것을 심어 길렀다. 그랬더니 사람 다섯 명이 들어가도 될 만한 커다란 박이 열렸다. 나는 그 박에 물을 넣어서 들고 다니려고 했는데 너무 무거워 그럴 수 없었다. 그래서 그것을 쪼개 나누어 표주박을 만들었더니 납작하고 얕아서 쓸 수가 없었다. 박이 엄청나게 크지만 내게는 쓸모가 없어서 모두 부숴버렸다네.”

이에 장자가 말했다.

“큰 것은 큰 것에 쓰임이 있다네.”하고는 한 가지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송나라에 손 안트는 약을 만드는 장인이 있었다. 그의 집은 대대로 묵은 솜을 물에 빨아주는 일을 해서 먹고 살았다. 그러다보니 손이 자주 트기 일쑤였다. 조상 중에 누군가 약을 발명해 그 비방이 후손에 전해졌다. 어떤 나그네가 우연히 그 소문을 듣고 장인을 찾아갔다.

“내가 황금 백 냥을 드리겠소. 이 정도면 당신 집안 식구들이 몇 달은 먹고 살 수 있을 것이오. 그러니 그 약을 만드는 비법을 내게 파시오.”

그날 밤 장인이 가족과 형제들을 불러놓고 말했다.

“우리는 대대로 솜을 빠는 일을 해서 먹고 살았다. 하지만 집안에 돈 한 푼 모을 수 있는 여유가 없었다. 그런데 약을 만드는 비방을 황금 백 냥에 사겠다고 하는 이가 있으니 서둘러 팔도록 하자!”

이렇게 하여 나그네는 그 비방을 사서 오나라 왕을 찾아가 말했다.

“한 겨울에 전쟁에 나서면 장수나 병사나 모두 손이 터서 몹시 힘들어 합니다. 소인이 손 안트는 약을 가지고 있으니 이를 전쟁에서 쓰도록 하십시오.”

얼마 후 오나라는 월나라와 전쟁을 하게 되었다. 한겨울 수중 전에서 월나라 병사들은 손이 터서 손을 내놓지 못하였지만 오나라 병사들은 늠름하게 손을 내놓고 전쟁에 나섰다. 그 결과 오나라가 크게 이겼다. 이에 오나라 왕이 나그네의 공을 인정하여 땅을 크게 내주고 그 지역의 영주로 삼았다.

이어 장자가 혜자에게 말했다.

“손을 트지 않게 하는 비방을 가지고 누구는 영주가 되고 누구는 고작 솜 빠는 일에서 얼마 동안 벗어났을 뿐이다. 이것은 그 사용법이 다르기 때문이다. 선생이 만약 그 커다란 박으로 술통 모양의 배를 만들어 강에 띄웠다면 사람들이 모두 좋아했을 것이다. 그런데 납작하고 얕아서 쓸모가 없다고 부숴버렸으니 이는 선생이 세상을 보는 눈이 너무 옹졸하기 때문이다. 고양이가 들쥐를 잡는 것은 당연한 일이지만 호랑이에게는 그 일은 관심 밖인 것이다.”

이는 ‘장자(莊子)’에 있는 이야기이다.

반복소인(反覆小人)이란 말이나 행동이 이랬다저랬다 하여 항상 핑계만 일삼는 소인배를 말한다. 사회 변화는 국민의 의식 수준에 달려있다. 이제는 자유한국당은 소멸되고, 더불어민주당은 보수의 역할을 하고, 정의당은 진보의 역할을 맡을 것이다. 역사는 옹졸하면 망하고 원대하면 흥하기 마련이다.

aionet@naver.com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