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학 박사

어느새 나도 이제 반백년의 세월을 살았다.

공자는 ‘불혹’을 넘어 하늘의 뜻을 아는 나이라고 해 지천명(知天命)이라고 했다. 우리들이 많이 알고 있는 논어 ‘위정편(위정편(爲政篇)’에 나오는 말인데, 공자는 만년에 위정편(爲政篇)에서 다음과 같이 회고했다.

“나는 나이 열다섯에 학문에 뜻을 두었고(吾十有五而志于學), 서른에 뜻이 확고하게 섰으며(三十而立), 마흔에는 미혹되지 않았고(四十而不惑), 쉰에는 하늘의 명을 깨달아 알게 되었으며(五十而知天命), 예순에는 남의 말을 듣기만 하면 곧 그 이치를 깨달아 이해하게 되었고(六十而耳順), 일흔이 되어서는 무엇이든 하고 싶은 대로 하여도 법도에 어긋나지 않았다(七十而從心所欲 不踰矩)."

이처럼 50의 나이는 의미가 크다. 이 나이면 세상의 모든 이치를 알고 하늘의 뜻까지 알아야 하는데, 나는 아직도 부족함이 많게 느껴진다. 하지만, 지금까지 열심히 그리고 성실하게 살아왔다. 물론, 지나간 세월에 대한 아쉬움과 후회도 있지만 그래도 기쁘고 행복했던 시간이 더 많이 있었음을 감사하고 나에게 잘 버티어 왔다고 칭찬해 주고 싶다. 중년의 나이는 남의 일로만 생각했는데 내가 어느새 이 시절을 살아가고 있음에 시간의 빠름을 다시한번 느낀다. 누군가는 오십의 나이가 되면서 욕심을 버리고 내려놓는 삶의 지혜를 배웠다고 했고 누군가는 이 나이에 산다는 것은 작별해야 할 것들이 점점 많아진다는 것을 의미 한다고 했다.

최근에 읽은책에서는 오십을 ‘인생의 두 번째 처음’, ‘환절기’, ‘인생의 정오’ 등으로 표현하기도 했다. 나에게 분명한 것은 오십의 나이는 긴 시간 이었고 배움의 시간이었으며 열정의 시간이었다. 지금은 20대처럼 힘이 있지는 못하지만 30대처럼 용기가 넘치지는 못하지만 불혹의 터널을 지나 세상을 관망하며 욕심을 지나칠 줄 알고 자만함을 숨길 줄 아는 겸손의 덕을 베풀 줄 아는 나이가 됐다고 생각한다.

내가 좋아하는 이봉우 작가의 ‘지천명을 바라보며’라는 시에서 보면 ‘잔주름에 기억은 하나둘 멀어져가고/어깨위에 머물러 있는 인생의 흔적들만/가끔 떠올라 옅은 미소를 짓는 나이/아직은 농익지 않아 어정쩡한/그래도 조금은 인생의 맛을 아는 나이/지그시 눈을 감고 돌아보면/가까이 있는 사람이 세삼 소중하게 느껴지는 이 순간/더불어 살아야 하는 삶의 철학을 조금은 알 것 같은 나이’라고 표현했다.

실제로 지천명을 맞으며 얼굴에는 주름이 하나 둘 생겨나고 검기만 하던 머리에도 흰머리가 생겨나기 시작한다. 나이를 먹으며 당연한 현상이고 이것이 인생의 흔적이지만 왠지 모르게 서글퍼진다. 이미 지나간 이별과 앞으로 다가올 많은 이별의 슬픔에 때로는 가슴이 먹먹해 지기도 한다.

이제는 백세시대이다. 앞으로의 더 멋지고 행복한 앞으로의 50년을 설계하고 기대하며 오늘도 열심히 행복하게 살아야겠다. 파이팅~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