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방주 수필가

나무를 잡고 몇 걸음 올라갔다. 드디어 활엽수 사이에서 성벽이 보였다. 찾았다. 아마도 남문지인 것 같았다. 무너진 돌무더기를 누군가 다시 쌓아 올렸다. 성벽 아래는 옛날 그대로 견고한데 윗부분에 돌을 덧얹었다. 예비군 초소 같다. 견고하게 남은 부분을 보니 돌의 크기가 상당하다. 작은 것은 가로 38cm, 세로 25cm 정도 되고 큰 것은 가로 70cm 정도 되면서 정사각형인 것도 있다. 돌은 다듬어 썼는데 연한 활석으로 보였다. 스틱 끝으로 돌에 그어보니 줄이 그어진다. 이런 돌이 어떻게 천년을 버티었을까.

주변을 둘러보았다. 모두 흙에 묻혔다. 성벽을 따라 동쪽으로 돌았다. 언뜻 보면 성벽이라 생각할 수 없을 만큼 땅 속으로 들어갔다. 심하게 비탈져서 발을 옮길 때마다 미끄러진다. 나무 등걸을 잡고 겨우 균형을 유지한다. 북벽은 성곽의 윤곽이 뚜렷하다. 나무와 흙에 묻힌 성벽에서 성석이 삐죽삐죽 나왔다. 이곳은 지표를 조사할 엄두도 내지 못하는 것 같았다. 험한 성벽 아래로 내려가서 성벽을 짚으면서 돌아보았다. 뱀이 나올 것 같지는 않아 맘을 놓았다. 온몸이 땀으로 범벅이 되었다. 흙을 걷어내기 전에는 별다른 것을 발견할 수 없을 것 같아 다시 성벽 위로 올라왔다.

말등산 정상 부근이다. 나무들 사이로 기름진 옥천 땅이 보인다. 은행리 금산리 쪽은 비닐하우스가 꽉 들어찬 들판이다. 내가 지나온 옥천 삼양리 삼거리에서 성왕사절지가 있는 월전리, 동평리 그리고 주차한 마을인 상지리에서 마전 추부 금산으로 이어지는 성왕로가 한 눈에 들어온다. 관산성이라 알려진 삼성산성, 용봉산성, 동평산성, 마성산성이 있는 산줄기와 대전 남부의 식장산에서 뻗어 내려온 옥천 북부 산줄기가 마주 보고 있다. 마주본 두 산성의 띠는 때로 함께 성왕로를 지키기도 했을 것이고 때로 대적할 때도 있었으리라.

관산성 전투의 주무대가 마성산 줄기에 있는 네 개의 산성과 옥천 동북부의 환산성이었다면 성티산성은 전투의 배후가 되는 산성이었을 것이라 생각된다. 성은 둘레가 400m에 못 미치는 작은 포곡식 산성이지만 성의 위치가 매우 높고 대전 동남부의 삼정리 산성, 갈현성, 능성의 산성이 이어진 줄기를 하나의 성으로 친다면 성티산성은 성왕로 쪽으로 툭 튀어나와서 마치 치성과 같은 역할을 했을 것이다.

정상에서 다시 남문 쪽으로 내려왔다. 남문지에서 서쪽 성벽으로 돌아가다가 보니까 골짜기에 널찍한 공터가 나왔다. 정상에서 성벽이 동남쪽 능선을 타고 내려가고, 또 한 줄기는 서남쪽 능선을 타고 내려갔는데, 그 사이 골짜기 삼태기 같은 안에 건물이 있었나 보다. 건물지라 생각된다. 아마도 저수할 수 있는 시설이나 우물도 있었을 것이다. 남문지에서 서쪽 성벽으로 약간 안으로 구부러들면서 구릉에 있는 성벽이 온전하게 남았다. 무너진 성벽의 돌무더기를 밟고 허겁지겁 살아남아 있는 성벽으로 다가갔다. 그러다가 돌이 움직여서 다리가 끼일 번했다. 조심해야 한다. 돌 사이 낙엽 속에서 갈색으로 변장한 살모사가 튀어 나올지 모른다. 여기서 일을 당하면 난리가 날 것이다. 성에 기어오르다가 떨어진 것도 아니고 뱀에게 물리다니 망신이 아닌가. 그러니 조심하자. 서두를 일이 아니다. 찾은 성이 도망갈 일도 없고 1500년 버틴 성곽이 금방 무너질 리도 없지 않은가.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