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일·가정 양립지표 발표…아빠 육아휴직자 56.3% 급증
자녀 연령이 어리고 자녀수가 많을수록 맞벌이 비율은 낮아

결혼이나 육아 등으로 경력 단절을 경험해본 여성이 소폭 줄어들고, 남성 육아휴가자는 갈수록 크게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지난 15일 발표한 ‘2017 일·가정 양립지표’에 따르면, 지난해 15~54세 기혼여성 취업자 551만8천명 가운데 결혼·임신·출산·육아 등의 이유로 일을 그만둔 적이 있는 경험자는 46.3%인 255만5천명이었다.

일년전보다 0.1%포인트 감소한 수치로, 비취업여성의 경력단절 비율도 0.4%포인트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40~49세 취업여성 가운데 경력단절 경험자는 121만 4천명으로 48.7%를 차지했고, 50~54세는 47.4%, 30~39세는 43.5%, 15~29세는 31.6%였다.

비취업여성 가운데 경력단절 여성 비중은 30~39세에서 72.1%로 가장 많았고, 15~29세는 61.5%, 40~49세는 43.9%, 50~54세는 22.2% 순이었다.

대부분의 연령대에선 ‘결혼’으로 인한 경력 단절 경험이 가장 많았던 반면, 30대는 ‘임신·출산’이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됐다.

다만 결혼으로 인한 경력 단절은 모두 감소 추세인 반면, 육아로 인한 경력 단절 경험은 비취업여성의 경우 일년전 30.1%에서 32.1%로 소폭 증가했다. 취업여성에선 일년전 11.9%에서 11.3%로 소폭 감소했다.

육아휴직을 사용한 여성은 8만2천179명으로, 일년전에 비해 288명 감소했다.

반면 남성 육아휴직자는 7천616명으로 일년전보다 56.3% 급증했다. 규모 자체는 여성의 10%에도 못 미치지만, 짧은 기간이나마 육아에 나서는 남성이 갈수록 늘고 있음을 보여준다.

0~5세 이하 자녀를 가진 임금근로자 가운데 2010~2015년 육아휴직을 사용한 사람의 비율은 ‘엄마’가 42.9%, ‘아빠’가 1.0%였다. 12개월 이하 자녀를 둔 ‘엄마’의 육아휴직 사용률은 2010년 26.6%에서 2015년 43.1%로 증가했다.

자녀 연령이 어릴수록, 자녀가 많을수록 맞벌이 비율은 낮았다. 6세 이하 취학 이전 자녀를 둔 맞벌이 가구 비율은 39.7%로, 초중생 자녀를 둔 맞벌이 비율보다 낮았다. 자녀가 3명 이상인 경우는 44.4%로 1~2명인 경우의 49%보다 맞벌이 비율이 낮았다.

미성년 자녀가 있는 맞벌이 가구의 주당 평균 근로시간은 42.5시간으로, 비맞벌이 가구의 46.4시간보다 짧았다. 특히 자녀가 어릴수록 여성의 근로시간은 맞벌이 여부에 상관없이 감소하는 한편, 남성은 비맞벌이일 때 근로시간이 증가했다.

자녀가 6세 이하인 맞벌이 가구에서 남성 근로시간은 46.5시간인 반면, 여성은 38.4시간으로 8시간 이상 차이가 났다. 자녀가 13~17세일 때는 남성 46.6시간, 여성 41.4시간으로 그 차이가 크게 줄었다.

같은 맞벌이라도 동거하지 않는 경우엔 남성의 근로시간이 더 짧았다. 부부가 같이 사는 경우 남자 근로시간은 46.2시간인 반면, 떨어져 사는 경우엔 43.7시간이었다.

지난해 고용률은 남자가 71.1%, 여자는 50.2%였다. 여전히 20%포인트 넘게 차이가 났지만 그 격차는 계속 좁혀지고 있는 추세다.

다만 미성년 자녀가 있어도 남성의 고용률은 큰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여성은 자녀 연령이 어릴수록 고용률이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