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번역가

장석지(張釋之)는 한(漢)나라 도양(堵陽) 사람이다. 집안이 부유해 돈으로 벼슬을 얻어 말단관리가 됐다. 의전과 기마 업무를 담당하는 기랑(騎郎)으로 10년을 근무했지만 알아주는 이가 없어 승진을 하지 못했다. 결국 무뚝뚝하고 융통성 없는 자신의 성격을 탓하여 관리를 그만두고자 했다.

“아, 관리란 내 성격에 맞지 않는 일이로구나. 집안의 재산만 축내고 뜻을 이루지 못했으니, 이 얼마나 부끄러운 일인가!”

그 무렵 장석지는 까마득히 모르는 일이지만, 황제의 호위군대 책임자로 있는 중랑장(中郎將) 원앙이 평소 장석지의 재능을 눈여겨보고 있었다. 그래서 황제에게 추천한 상태였다. 장석지가 사직서를 제출하러 궁궐로 찾아갔더니, 뜻밖에도 황제의 시중을 드는 알자(謁者)의 벼슬이 내려졌다고 알려줬다. 이로서 조정에 참여하여 황제를 뵐 수 있었다.

어느날 문제(文帝)가 장석지를 불렀다.

“나라와 백성을 편안하게 하는 일에 관해 평소 소신을 말해 보거라. 짐에게 어렵고 고상한 말들은 하지 말고, 당장 실행할 수 있는 쉬운 것을 말하라.”

그러자 장석지가 이전 진(秦)나라가 멸망하고 지금의 한(漢)나라가 흥한 까닭을 어눌하지만 쉽게 강론했다. 황제가 듣고는 이해할 수 있어 좋다고 칭찬하였다. 이어 장석지를 유능하게 여겨 중간관리인 알자복야(謁者僕射)로 승진시켰다.

하루는 황제를 수행해 동물을 기르는 호권 동산에 이르렀다. 황제가 동산관리 책임자 상림위(上林尉)에게 여러 동물에 대하여 궁금한 바를 물었다. 하지만 질문을 받은 상림위는 우물쭈물 제대로 대답을 하지 못했다. 그러자 옆에 있던 하급관리인 색부(嗇夫)가 대신 나서 상세하게 대답하는 것이었다. 목소리가 분명했고 대답이 술술 막힘이 없었다. 듣고 나더니 황제가 기쁜 표정을 지으며 말했다.

“관리란 마땅히 이와 같아야 하지 않겠는가? 상림위(上林尉)는 아무데도 쓸모가 없도다.”

하고는 색부를 동산 최고 책임자인 상림령(上林令)으로 삼으라고 하였다. 그러자 장석지가 앞으로 나와 아뢰었다.

“폐하께서는 재상을 지낸 주발(周勃)을 어떤 인물이라고 생각하십니까?”

황제가 대답했다. “덕망 있는 사람이지.”

장석지가 또 물었다.

“대장군을 지낸 장상여(張相如)는 어떤 인물이라 생각하십니까?”

황제가 대답했다. “역시 덕망 있는 사람이지.”

장석지가 말했다.

“주발이나 장상여를 덕망 있다 하셨지만, 사실 이 두 사람은 언변이 부족해 말을 잘 못하는 분들이었습니다. 그런데 어찌 이 색부의 수다스런 말재주를 뛰어나다고 여기시는 것입니까? 만약에 색부를 파격적으로 승진시킨다면 천하 사람들이 말재주만 배우려하고 실제적인 일을 멀리 할까 두렵습니다. 그러니 폐하께서는 신중하시기를 간청 드립니다.”

이에 황제가 말했다.

“그대의 말이 옳도다!”

이리하여 승진시키려는 명령을 철회했다. 강의목눌(剛毅木訥)이란 의기가 강하여 욕심이 없고, 용기가 굳세어 어려운 일을 하고, 무뚝뚝해 꾸밈이 없고, 말이 둔해 묵중한 사람을 비유하는 말이다. 예부터 말 잘하는 자는 백성의 이익과 부하의 이익을 빼앗아 가는 자라 여겨 경계하라고 했다. 공자(孔子)는 말재주가 교묘하고 표정을 잘 꾸미는 사람 중에 어진 자가 없다고 했다. 자신의 주변에 강의목놀한 사람이 있다면 좋은 인연을 만난 것이다. 그런 이에게서 처세를 배울 일이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