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산시, 국회서 고속도로 건설 전문가 토론회
“대산공단 접근성 열악…교통체계 개선 시급”

열악한 대산석유화학단지의 교통체계 개선을 위해 대산~당진간 고속도로 건설이 국가 정책사업으로 추진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9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대산~당진간 고속도로 조기 개설을 위한 전문가 토론회’에서 김원철 충남발전연구원 책임연구원은 “국내 3대 석유화학단지 중 대산석유화학단지의 고속도로 접근성이 가장 열악하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김 연구원은 “대산공단은 연평균 교통량이 10.4%, 대산항 물동량은 연평균 47% 증가하고 있으나 도로 등 기반시설이 열악하다”며 “2016년 중국과 국제여객선이 취항하면 여객과 화물 통행량이 더욱 늘어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연구원은 “대산공단은 민간기업이 입주해 조성된 공단으로 기반시설에 대한 국가 지원이 미비하다.”며 “대산~당진간 고속도로 건설이 입주기업의 경쟁력 강화뿐만 아니라 지역 균형발전 차원에서 예비타당성조사 면제사업으로 선정돼 추진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토론회는 대산~당진간 고속로 개설을 위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국회 차원의 관심을 유도하자는 취지로 서산시와 김제식 국회의원이 공동으로 마련했다.

토론회에는 정의화 국회의장을 비롯한 국회의장단,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최고위원, 국토교통위원회·기획재정위원회·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의원 등 100명이 참석했다.

김제식 의원은 개회사를 통해 “대산~당진간 고속도로가 개설되면 서해안 항만과 내륙연결 교통망이 구축돼 충남을 대중국 수출기지로 육성·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라며 “국가석유화학 산업을 견인하는 대산공단 경쟁력 강화의 기틀이 마련됨으로써 국가 균형발전의 커다란 원동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완섭 서산시장은 환영사를 통해 “연간 3조8천억원에 달하는 국세를 납부하는 대산공단 경쟁력 강화와 국토 균형 발전이라는 거시적 안목에서 대산~당진간 고속도로 건설이 국가 정책적으로 반드시 추진돼야 할 것”이라며 “이날 토론회가 고속도로 건설의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고 사업 추진의 당위성을 확보하는 대화의 장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용웅 전 충남발전연구원장이 좌장을 맡은 토론에는 학계, 언론계, 대산5사, 국토교통부 및 충남도 관계자가 나와 고속도로 개설 필요성과 추진 방향에 대해 토론을 벌였다.

이선하 공주대 교수는 “이 사업에 대한 타당성 조사가 이뤄진 2005년과 2009년 이후 대 중국 및 동남아시아로의 경제교류의 중요성이 극대화되는 등 대산항에 대한 많은 환경변화를 재조명할 필요가 있다”며 “높은 화물차량 비율, 대산항 국제여객터미널 개통에 따른 관광수요 추정 등 편익분석에 있어 다양한 측면에의 접근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한환규 현대오일뱅크 상무는 “대산5사는 매년 수조원의 국세를 납부하고 있으나 국가 지원이 거의 없어 서산지역의 교통과 물류 인프라는 전국에서 최하위 수준”이라며 “대산공단 경쟁력 강화뿐만 아니라 대 중국 교역의 중요성을 고려해 정부가 고속도로 개설을 전향적인 입장에서 바라봐 달라”고 건의했다.

이계성 충남도 도로교통과장은 “서산지역은 대형 화물차량으로 인해 교통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을뿐만 아니라 물류비 증가 등을 이유로 세계적인 기업들이 투자를 기피하는 등 지역경제 활성화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며 “충남을 대중국 수출기지로 육성하기 위해서는 대전~당진간 고속도로를 서산 대산항까지 연장해야 한다”고 말했다.

대산~당진간 고속도로 건설은 서해안고속도로 남당진 분기점에서 대산읍 화곡리까지 24㎞를 왕복 4차로로 연결하는 사업으로 6천800억원의 재원이 필요하다.

서산시는 지역 최대 현안사업인 고속도로 건설을 위해 건의서 제출, 국회의원 초청 설명회, 중앙부처 방문 등의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여 왔지만 정부는 경제성을 이유로 수년째 난색을 표하고 있다.

이와 관련 이완섭 시장은 최근 대전~당진간 고속도로 대산 연장을 바라는 건의문을 친필로 작성해 박근혜 대통령, 정홍원 국무총리, 정의화 국회의장,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 등에게 보냈다.

서산지역에서는 다른 지역의 경우 예비타당성조사 결과 사업성이 부족해도 국책사업으로 확정한 사례가 여럿 있는 만큼 정부의 정책적 배려가 필요하다는 여론이 고조되고 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