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 속의 생명’주제의 2002오송국제바이오엑스포가 지난 24일 한달간에 일정을 마치고 대단원의 막을 내렸다.
충북도와 보건복지부가 공동으로 주최한 오송엑스포. 농업혁명, 정보통신혁명에 이어 제4의 물결로 바이오테크생명이 도래하고 있는 시점에서 성공적으로 행사를 마무리했다는데 그 의미를 더했다.

오송국제바이오엑스포 개최 계획이 발표될 당시 주위에서는 일반인들의 관심이 저조, 입장객 유치에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았다.

그러나 지난달 25일 개장과 함께 몰려드는 관람 인파로 예상인원을 훨씬 뛰어넘은 80만명에 육박, 당초 우려 감을 말끔히 씻어냈다.

행사기간중 관람객들로부터 큰 인기를 끈 체험관은 연일 많은 인파가 몰려 제한입장을 시킬 정도였다.
이 곳은 골밀도, 뇌혈류 등의 기초건강 검진을 즉석에서 할 수 있어 특히 노년층 관람객들의 발길이 이어졌다.

또 어린이와 청소년층은 인체장기기능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걸리버인체여행을 비롯해 바이오실험실, DNA추출실험 등에 흥미를 나타냈다. 그 만큼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생명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 것은 반영한 것이다.

뿐만 아니다. 이번 행사기간 중에 바이오 기업들이 충북에 대한 관심도를 나타내기 시작했다.
오송엑스포에는 두 개의 대기업과 녹십자 종근당 중외제약 등 중견기업 11개사와 바이오니아 바이오랜드 등 벤처기업 87개사, 대학연구소 7개기관, 해외기업 129개사, 바이오기업 100개사 등이 참여했다.

아쉬운 것은 충북을 연고로 한 바이오기업의 참여가 20여개사에 그쳤다는 점이다. 물론 아직 산업으로 발전하기에는 역부족인 바이오 인프라 구축도 원인이었으나 그래도 참여기업들은 많은 성과를 올렸다는데 의미를 두고 있다 하겠다.

종합적으로 놓고 볼 때 이번 오송엑스포는 외형적인 성공을 거뒀다는 평가를 받기에 충분하다.
문제는 지금부터다. 어떻게 오송엑스포의 개최 취지에 맞게 이끌어 가야하는 문제가 남아있다. 이젠 엑스포의 여운을 지역경제 활성화에 접목시키는 ‘2라운드 마케팅’에 본격적으로 나서야 할 때다.

만약 성공적인 오송엑스포 행사에만 급급한 채 이에 따른 사후 활용방안을 제대로 이어가지 못하면 예산낭비·전시행정이란 비난은 불가피하다.
따라서 충북도는 향후 ‘포스트 엑스포’준비와 추진을 소홀히 해서는 안될 것이다.

무엇보다 먼저 오송산업단지 편입 지역 내 주민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 적절한 대응책을 강구해 나가야 한다.
바이오산업 메카로 육성하고자 하는 오송산업단지 편입 지역 내 주민들은 현재 토지보상가격의 현실화를 내세우며 오송단지 조성의 백지화를 요구하며 시위를 벌이며 지속적으로 반발하고 있다. 이 기초적인 문제 해결이 미뤄질 경우 바이오산업의 메카인 오송단지의 조성은 난망한 실정이다.

자칫 토지보상가격 협상이 장기간 지연될 경우 최근 충북지역에 일고 있는 바이오 열풍이 한층 꺼 일수 있다는 점을 감안, 조속한 매듭이 요구된다.
충북도가 이번 행사를 통해 바이오산업의 중심지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이를 계기로 다양한 투자유인책을 제공, 바이오 다국적기업의 본사 또는 지역본부를 충북도에 적극적으로 유치해야 할 것이다.
또한 급변하는 기업환경에 빠르게 적응할 수 있는 전략 및 전술을 끊임없이 개발과 행정규제 완화 등을 통해‘기업하기 좋은 충북도’라는 인식을 심어주기에 앞장서야 할 것이다.

충북도는 이밖에 오송단지 조성 촉진을 위한 사업을 비롯해 바이오메카로서 충북의 인지도 제고 방법, 바이오 브랜드 가치 창출 기여사업 발굴 등에 나서야 할 때다.

다행스러운 것은 충북도가 포스트엑스포 준비에 한창이다고 한다. 모쪼록 성공적으로 마친 2002오송국제바이오엑스포가 충북도에 좋은 결실을 가져다 주길 기대해 본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