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1월 29일 경북 안동에서 구제역이 처음 발생한 후 전국적으로 확산돼 온 나라가 뒤숭숭하다.가축을 매몰 처리하는 축산 농민들은 축산업의 붕괴를 걱정하며 앞으로의 생계 걱정에 한숨이 늘고 있다. 당장 구제역이 종식돼 모은 돈을 투입한다 해도 새끼를 낳아 출하하는데 최소 1년은 걸린다.이번 구제역 파동으로 우리나라 축산 기반이 크게 흔들리고 재기하기까지는 많은 노력과 함께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 것이다. 많은 사람들의 정신적 충격은 물론 축산 농가들은 불안과 공포에서 좀처럼 벗어나지 못할 것이다.

규모화 된 축산단지 조성 필요

사상 최악의 사태로 기록될 이번 구제역으로 현재까지 전국 4천여 개소에 소·돼지 320여만마리가 살처분 매몰됐다. 급속도로 확산되는 구제역을 막기 위해 살처분 매몰 작업에 급급하다보니 매뉴얼대로 지키지 못한 지역이 있어 소·돼지를 묻은 땅에서 흘러나오는 침출수나 식수 오염 등 2·3차 피해가 걱정이다. 피해금액만 3조원에 달할 것이라고 전망된다. 앞으로 얼마나 추가가 될지 모르는 상황이다. 국립수의과학검역원 발표에 따르면 구제역이 과거와 다르게 전국적으로 발생한 원인으로 안동지역서 구제역이 최초로 확인되기 이전에 경기 파주지역 등으로 구제역 바이러스가 전파된 것과 추운 날씨로 방역에 어려움이 있었던 점 등을 들었다.

현재 비교적 규모가 큰 축산농가에서는 방역이 잘 되는 편이다. 지만 대부분의 축산 농가는 사육 규모가 작고 산재되어 있어 방역에 한계가 있다. 방역통제가 어렵다보니 각종 가축질병이 확산되는 경로를 통제 관리하는 국가적 방역시스템이 미비한 실정이다. 이렇다보니 후진국 축산경영에 머무르고 있는 형편일 수밖에 없다. 오폐수 처리시설이 미비해 수질 환경오염원이 되고 있다. 마을 내 위치한 축사에서 발생하는 악취 및 해충의 발생으로 지역주민들과 마찰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선진국 사례를 보면 모든 대책은 큰 재앙이 발생한 후에 마련되고, 새로운 발전의 계기로 삼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도 이번 구제역 위기를 축산업 발전의 기회로 삼아야 될 것이다. 그렇다면 경쟁력 있는 축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 우리는 어떠한 노력을 해야 하는가?

먼저 규모화 된 축산단지 조성이 우선 돼야 한다.

무분별한 축사 신축을 제한하고 산재돼 있는 축사를 마을과 떨어진 임야지의 한 곳으로 모아 축산단지를 조성해야 한다. 오폐수 종말처리장 등 첨단 친환경적 축산환경을 만들어 방역체계 재정비도 해야 한다. 사육뿐만 아니라 축산분뇨를 이용한 바이오 가스 대체에너지 생산시설과 액비 생산시설로 순환농업을 실천해야 한다. 축산 가공장, 체험 교육, 음식 등 융복합화를 위한 고부가가치 축산 클러스터도 형성돼야 한다. 구제역 재앙으로부터 벗어나 녹색 친환경 축산업 발전의 기회로 만들기 위해 우선 축산 농가들의 인식 전환이 필수적이다. 좁은 우리에서 공장식으로 밀집 사육하는 한국식 축산의 근본 한계가 적나라하게 드러났다. 농업의 한 축인 축산업의 품질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공장식 축산을 지양해야 한다. 안전하면서 위생적인 친환경축산업을 추진해 나가야 한다.동물복지를 포함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축산물(가공제품 포함)을 제공하는 생산 및 소비기반을 다져야 한다.

고부가가치 클러스터 형성돼야

위기는 위험과 기회를 합친 말이다. 

현재 우리 축산농가에 닥친 구제역이라는 큰 위기는 어떻게 대응 하느냐에 따라 새롭게 녹색 친환경 축산업으로 도약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수도 있다. 위기는 보통 분명한 신호와 함께 온다. 지금 구제역이란 위기는 가장 명확한 기회일 것이다. 구제역이란 재앙이 그저 단순한 재앙으로 끝나지 않으려면 어떻게 새로운 발전의 계기로 삼을 것인가를 지금부터 생각하고 준비해야 한다. 구제역의 재앙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책임이나 추궁보다 하루 빨리 국민의 안전한 먹을거리 확보와 축산농가의 소득 안정을 위해 녹색 친환경 축산복합단지 조성을 위한 축산업계의 중지를 모아야 할 시점이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