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지방선거가 불과 보름여 남았다. 후보자들이 등록을 마치고 본격적인 선거전에 돌입했다.

그래서 인지 요즘 거리를 걷다보면 친절한 사람을 쉽게 만난다.

평소 면식조차 없던 사람이 길거리나 주택단지, 상가 등에서 친절하게 다가와 허리를 90도 굽히는 정중한 인사와 함께 악수를 청하고 한 장의 명함을 내민다.

그리고 바로 뒤돌아서서 또 다른 누군가에게 인사를 한다. 남녀노소 할 것 없이 친절하게 인사하며 웃는 얼굴이지만 이러한 사회분위기를 바라보는 유권자들의 마음은 씁쓸하기만 하다.

우리 사회는 주기적으로 일부 사람들이 친절하게 변하는 사이클을 갖고 있다. 지방선거, 총선, 대선 등 대중의 표를 먹어야 살아남을 수 있는 사람들이 선거철만 되면 어김없이 친절한 사람으로 돌변한다.

하나같이 어깨띠를 두르고 한 손에는 자신의 이름 석자와 화려한 이력이 가득 새겨진 명함을 쥔 이들은 “지역민을 위해 열심히 일하겠다”는 말을 잊지 않는다.

하지만 이러한 분위기도 선거만 끝나면 웃음이 있던 얼굴에서 교만과 상대방을 깔보는 기색을 느끼는 것은 유권자라면 누구나 알고 있는 현실이다.

선거를 지나 당선만 되면 90도로 꺾였던 허리는 어느새 꼿꼿해지고 고개는 하늘에 가까워진다.

지역민을 위해 일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의 이익을 위해 열심히 노력하는 모습을 보기도 어렵지 않다.

이러했던 사람도 다음 선거판에서는 또다시 허리를 굽히고 얼굴에는 가식적인 웃음을 담고 주민을 위해 열심히 일하겠다는 말을 서슴없이 내뱉는다.

이번 6·2지방선거에 흥행요소가 없다는 관측이다. 이처럼 정치인들의 가식 있는 술수는 유권자들의 관심은 멀어지게 할 수밖에 없다. 유권자의 관심이 멀어지면 투표율 저하로 이어져 선량을 뽑는 의미를 반감시킨다.

직접선거의 의미가 없어지게 되는 것이다.

국민의 여론이 반영되지 않는 일부 그들만의 잔치가 돼버린다면 지방자치는 더욱 흔들릴 수밖에 없다.

선거 열기가 후끈 달아오를 줄 알았던 지방선거가 흥행이 너무 되지 않는다.

후보들은 후보들대로 고생이다. 아무도 반겨주지 않는 거리에 나서는 것도 이제는 낯설다. 무엇 때문에 정치를 하는지 회의를 느낄 때가 한두 번이 아니란다.

유권자들은 후보자들을 본체만체 지나친다. 명함 받는 것도 어색해한다. 악수마저도 거절한다. 후보들이 할 수 있는 것이 별로 없다. 결국 거리에 나서 인사하지만 이마저도 유권자들의 반응은 시큰둥하다.

교육감선거와 교육의원 선거는 더 심각하다. 교육감 선거에 대한 무관심이 이 정도일 줄은 몰랐다고 출마자들은 하소연한다.

이 같은 무관심은 사상 최초의 ‘1인8표제’에 따른 혼란 속에 교육선거가 정치선거에 파묻힐 것이란 당초 우려가 현실로 나타난 것으로 풀이된다.

정치선거와 교육선거를 함께 치르다보니 정당 공천의 정치선거가 비방·폭로·금품수수 등 구태와 불·탈법으로 얼룩지면서 민심이반이 확산돼 교육선거 무관심을 불러일으킨 것은 아닌 지 의구심마저 든다.

선거가 코앞으로 다가왔지만 각종 여론조사에서 정치선거는 물론이고 교육감 선거에 대한 부동층이 50%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지후보가 없다’거나 ‘모른다’는 응답률이 유권자의 절반을 넘어서고 있다는 것에 대해 출마자들은 우려하고 있다.

부동층은 선거 등에서 어느 한쪽을 선택할 지 결정하지 못했거나 바꿀 생각이 있는 계층을 말한다.

역대 선거 때마다 나타나는 부동층의 향방은 당락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곤 했으나 문제는 이들이 투표장에 가지 않을 확률이 높다는 점이다.

가더라도 현재와 같은 무관심과 폭넓은 부동층의 윤곽을 볼 때 ‘묻지마 투표’로 이어질 공산이 크다는 사실이다.

우리 사회에서 부동층의 확산은 정치에 대한 공포와 불신, 냉소, 무관심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정치선거가 아닌 교육선거에서 누가 교육감이 되느냐에 따라 교육·사회·문화적 변화와 파장은 커진다.

일각에서는 교육감 선거는 자신의 생활과 직접적인 관계가 없다거나 정당개입 금지에 따른 대중적 흥미 하락, 교육은 정부가 주도해야 한다는 생각들 때문에 관심의 폭이 줄어든 것이 아닌지 생각된다.

그러나 교육감 선거의 의미는 우리 아이들의 장래와 지역사회의 미래 모습을 결정짓는 중요한 전환점이 된다.

당연히 교육감의 철학과 정책 능력에 따라 교육과 사회에 많은 변화를 가져올 수 있어 여느 단체장 선거보다 더 의미 있고 중요하다는 주장도 이 같은 맥락에서 비롯된다.

지금부터라도 후보들의 공약과 정책을 차근차근 챙겨보고 과연 누가 아이들의 장래와 우리사회 미래에 더 많은 도움을 줄 것인가 고민해야 한다.

별다른 생각 없이 ‘묻지마 투표’로 후보가 결정될 때 민의가 왜곡되고 그 피해는 고스란히 아이들과 사회에 부담으로 작용되기 때문이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