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천여개에 이르는 전국의 약수터와 샘터 등 먹는물 공동시설이 지금까지 한번도 바이러스 검출검사를 받지 않는 등 바이러스에 그대로 노출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일 환경부에 따르면 수질검사 기준을 마련하는 중앙정부나 수질관리 책임을 맡고 있는 지방자치단체 등은 전국의 먹는물 공동시설에 대해 정기적으로 수질검사를실시하지만 바이러스 검출검사는 한 번도 실시하지 않았다.

약수터나 샘물은 소독이나 여과 등 정수과정을 거치지 않는데다 사람이나 야생동물 등의 접근이 쉬운 지역에 주로 있어 바이러스에 노출될 가능성은 매우 높은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환경부 관계자는 “음용수로 판매되는 생수는 바이러스가 살 수 없는 깊은 지하수를 끌어낸다는 점에서, 정수기 물은 소독된 수돗물을 다시 한 번 여과한다는 점에서 바이러스 검출 가능성이 매우 낮다고 볼 수 있지만 약수는 그렇지 않다”면서 검사를 실시할 경우 바이러스가 검출될 확률은 수돗물에 비해 훨씬 높다”고 밝혔다.

한편 수요자 조사 결과 약수물을 끓이지 않고 그냥 마신다는 사람의 비중은 10%이상으로 수돗물을 마신다는 사람의 3~4%에 비해 더 큰 상태다.

환경부 관계자는 “바이러스 검출검사는 6~8주의 시간이 걸리는데다 비용도 1곳당 150만원 가량 들어간다”면서 “아직 전국 수돗물에 대한 검사도 채 마치지 못했기때문에 약수물에 대한 검사는 필요성은 느끼고 있으나 계획은 잡지 못하고 있다”고밝혔다.

바이러스 검사는 1t의 시료를 채취, 전자현미경으로나 보일만한 바이러스를 찾아내는 것이기 때문에 이 검사를 수행할만한 기관은 국내에 7~8개에 불과한 실정이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