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은 어쩌면 선택의 연속(連續)이다. 그런 데도 살아가면서 가장 어렵고 힘든 일 중에 하나를 꼽으라면 ‘선택’일 듯 싶다.

선택은 고민과 판단과 이해를 수반하는 연유다. 더욱 중요한 것은 그 선택에 대한 책임이 자신에게 귀속되는 까닭이다.

올해는 또 다른 하나의 선택이 우리를 기다린다. 6·2지방선거!

우리 지역의 자치단체장과 지방의원을 뽑는 일이다. 수없이 치러진 선거를 통해 선택의 중요성과 가치를 경험했다.

그럼에도 자신의 선택에 대해 후회한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고민의 부족이다. 조금 더 신중하고 명민하게 고민하지 못해서다. 혈연·학연·지연에 얽매인 감정적 고민으로 이성을 혼돈케 한 탓이다.

판단의 착오다. 정치인 개인이나 그가 속한 정당의 이득을 지역발전과 주민 복리증진을 위해 헌신하겠다는 언어로 교묘히 덧칠한 것을 제대로 감지하지 못한 때문이다. 이해의 함몰이다.

진정 지역발전을 위해 적임자인지는 따지지 않고 개인적 이득만을 계산한 처사다. 선택에는 후회가 허락되지 않는다. 면책권도 없다.

그만큼 신중하게 객관적으로 고민하고 판단해야 하는 일이다. 그러기 위해선 어떤 고민과 판단과 이해가 필요한지부터 사유해야 한다.

가장 선행돼야 할 것은 지방선거의 본질 파악이다. 지방선거는 정당의 지지도를 평가하는 과정이 아니다.

지방자치제도는 주민의 참여를 근간으로 한다. 주민을 대신해 행정을 이끌어 가는 수장을 뽑는 일이 지방선거다.

이런 점에서 인물의 자질이나 능력, 도덕성 등을 검증하지 않은 채 그저 자신이 지지하는 정당 소속이라는 이유만으로 선택하는 것은 명백한 참정권의 유기(遺棄)행위다.

유권자들이 지방선거에서 정치를 벗겨내지 못하는 한, 자치단체장이나 지방의원은 주민보다 소속 정당을 더 두려워하고 우선시 할 수밖에 없다.

정치 속박으로부터 벗어나 진정한 주민 참정권의 독립 선언이 필요하다. 인물과 정책을 면밀히 판단, 지역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담당할 적임자를 택해야 한다.

선택은 사후관리도 중요하다. 선거 과정에서 주민과 한 약속을 잘 지키고 있는 지, 진정으로 지역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지 계속 지켜보면서 견제해야 한다.

이것도 유권자의 책임이다.

자신의 선택에 대해 방기(放棄)하면서 잘못 뽑았느니, 사람이 변했느니 하는 말들은 변명하고 자기합리화일 뿐이다.

선택의 책임은 선택하는 순간 해지되는 것이 아니라 그 순간부터 4년간 유효하다. 유권자들은 당리당략을 앞세운 각 정당의 지방선거 찬탈(簒奪)행위를 차단하고 감시해야 할 의무도 뒤따른다.

지방선거를 정쟁의 장(場)으로 변질시키고, 유권자들을 정치권에 예속된 거수기 정도로 판단한다면 지방선거를 통해 유권자들이 심판해야 한다.

각 정당이 지역을 위해 한 일이 무엇인가. 어떤 일들을 했다면 과연 진정성과 순수성을 갖고 한 일인가. 아니다. 그들은 속성상 당의 이익을 우선한다.

어떤 일을 했을 때 당이 얻는 효과가 무엇인지부터 따진다.

정치권 안팎에선 세종시 문제와 청주·청원 통합 무산 등을 이번 지방선거의 최대 이슈로 분석한다.

과연 유권자들의 민심도 그러할까. 단언코 아니다. 이를 부정한다면 유권자들을 직접 만나보기를 권고한다.

정치권에서, 언론에서 그렇게 몰고 가는 것 뿐이다. 이 때문에 유권자들은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세뇌효과를 통해 그렇게 판단하게 만드는 것에 불과하다.

유권자들의 의식도 변해야 한다. 후보자에게 개인적으로 무엇을 원하면 그 후보자는 청렴하고 객관적인 지방자치를 수행할 수 없다. 한 개인의 이익을 추구하면, 다른 많은 다수의 이익이 침해되고 박탈된다.

그 결과는 지역 전체의 이익과 발전과 향상을 가로막는 부작용으로 나타난다. 정치에 대한 관심과 지속성도 높여야 한다.

정치인들이 선거 때만 고개를 숙이고 유권자들을 귀하게 여긴다는 말은 역설적으로 보면, 유권자들이 선거 때만 정치에 관심을 두기 때문이다.

이번 지방선거에 나서는 후보자들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지 자문(自問)해 보면, 과연 지방자치나 정치에 대해 얼마나 무관심한지 알 수 있다.

유권자들이 지방선거에 나선 사람들이 어떤 사람인지조차 제대로 알지 못한 채 선택하는 지방선거라면 차라리 제비뽑기를 하는 게 나을 지도 모른다.

참정권은 분명 권한이지만, 책임이 수반되는 의무이기도 하다.

유권자들이 조금 더 정치에 대해 관심을 갖고 참여한다면 지금보다 한층 발전되고 성숙한 지방자치가 정착될 것은 확신적 예단이다.

유권자들을 진정으로 두려워하며 지역발전을 위해 늘 고민하고 개인의 이익보다는 지역 전체의 이익을 우선하는 일꾼을 뽑자. 정당을 앞세워 지방선거를 정쟁의 장으로 전락시키기보다, 지역과 주민을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 지 고민하고 노력하는 진정한 자치단체장과 지방의원을 선택하자.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