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가 올라 가계 살림살이에 깊은 주름이 가고 있다.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10월 이후 3%대의 높은 상승률을 보이고 있으며 금년 3월에는 3.9%까지 치솟았다. 충북지역은 이보다 더 높은 4%대의 상승률을 보이고 있다. 특히 생필품의 가격이 많이 올라 장바구니 물가를 나타내는 생활물가지수가 5% 내외(충북지역은 3월 5.8%)의 상승률을 보이는 등 주부들의 시름이 더해가고 있다. 이처럼 물가가 큰 폭으로 오르게 된 것은 곡물이나 원유 등 국제 원자재 가격이 급등했기 때문이다.

국제 원자재 가격은 지난해부터 폭등세를 보였다. 국제 원유 가격은 지난해 초 50∼60달러이던 것이 지금은 100달러를 넘어 고공행진을 계속하고 있다. 국제 곡물 가격 역시 올라 지난 1년 사이 밀은 3배, 콩과 옥수수는 2배 올랐으며 최근에는 쌀 가격도 급등해 2배 가까운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국제 원자재 가격 폭등은 근본적으로는 수급불균형이 그 원인이다. 중국, 브라질, 인도 등 신흥개발도상국들의 높은 경제성장으로 인해 원유 및 곡물에 대한 수요는 크게 늘어난 반면, 공급은 이에 미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국내 물가가 큰 폭으로 오르자 정부에서는 유류세를 10% 인하했고 내달부터 생필품과 원자재 69개 품목의 관세율을 0%로 낮추기로 하는 등 가격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세금을 인하하거나 인하할 예정에 있다. 또 서민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생활필수품 52개 품목을 선정해 10일 주기로 가격 동향을 집중 모니터링하고 매달 상승률을 발표하겠다고 한다. 지방자치단체에서도 각 단체별로 물가대책회의를 갖고 물가감시와 공공요금인상 억제에 나서는 등 물가관리에 진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각종 대책들의 효과에 대해서는 의구심을 나타내는 학자나 전문가들이 많다. 제품의 원가상승 요인이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한 것이어서 이를 언제까지 억누를 수는 없다는 것이다. 그리고 물가가 오르면 물가안정을 목표로 하는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해 총수요를 억제함으로써 물가를 낮춰야 하는데, 이마저도 쉬운 일이 아니다.

치솟는 물가를 잡기 위해서는 정부의 각종 물가대책이나 한국은행의 금리정책이 중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들이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물가안정을 위한 각 경제주체들의 노력이 그 어느 때보다도 필요하다. 지금 우리는 경기가 좋지 않은 상태에서 물가가 오르는 스태그플레이션이 우려되는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서는 불필요한 낭비를 없애고 합리적인 소비를 할 수 있도록 모든 국민들의 슬기와 지혜를 모아야 할 때다. 먼저 국제원자재 가격 상승을 1차적으로 접하게 되는 기업들은 외부충격을 가격인상으로 전가하지 말고 고비용구조 개선, 생산성 향상 등 원가절감 노력을 통해 인상요인을 최대한 내부적으로 흡수함으로써 제품가격 인상을 가급적 억제하거나 늦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격이 오르면 수요가 줄게 돼 결국에는 기업에게 손해가 되기 때문이다. 가계의 경우에는 불필요한 낭비요인을 줄이고 합리적인 소비생활을 해야 한다. 에너지 절약을 생활화하는 것은 물론 충동구매나 과시성소비 같은 것은 하지 말아야 한다. 소비를 너무 줄이면 경기가 침체되는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나, 지금은 합리적인 수준에서 소비절감이 반드시 필요한 시점이다. 소비가 줄면 기업들도 가격을 쉽사리 올리지 못하고, 또한 국제 원자재가격도 떨어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