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송생명단지 어떻게 되나

   

국내 바이오산업의 메카로 자리잡을 오송생명과학단지(이하 오송단지) 조성공사가 현재 60%의 공정률을 보이며 한창이다.

최근 정부가 호남고속철 오송분기역을 최종 확정함에 따라 오송은 충북발전을 견인할 희망의 땅으로 확실히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런데 최근 들어 오송으로 이전키로 한 국책기관의 분리축소가 추진되고 있고, 세계적 다국적기업인 모 백신회사의 오송 이전이 불투명해지면서 오송단지 위기설이 확산되고 있다. 오송단지 조성사업 추진상황을 살펴보고 충북도의 오송단지 활성화대책을 들어봤다.     

편집자

▶오송단지 사업 개요

청원군 강외면 쌍청·연제·만수리 일원에서 조성되는 오송단지는 총 140만평 규모다.

지난 1997년 국가산업단지로 지정된 뒤 2003년 기반공사가 시작됐으며 2007년 12월 기반시설 공사를 마치고 2008년 조성사업이 완료될 예정이다.

단지조성 등 총 사업비는 4천983억원이며 올해에만 단지조성 470억원, 기타 180억원 등 모두 650억원이 투입된다.

충북도는 오송단지가 계획대로 조성되면 1만4천명의 신규고용 창출과 연간 2천600억원의 소득창출, 2조4천억원의 사업생산액이 발생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토지이용계획과 공급률

140만평 가운데 생산시설용지가 50만9천평으로 36%를 차지하며 가장 많다.

도로, 공원, 녹지, 주차장, 폐수처리시설 등 공공시설 용지는 전체의 31%인 44만평이다.

연구시설용지가 13만1천평, 학교용지가 11만5천500평, 지원시설용지가 8만2천평이며 상업용지는 1만8천500평, 주거용지는 10만4천600평이다.

충북도와 토지공사에 따르면 공급대상 98만2천평 가운데 43만9천평이 분양돼 현재 45%의 공급률을 기록하고 있다.

공동주택지 7만6천평은 100% 분양이 완료됐고 단독주택지 2만8천평은 2만7천평이 분양돼 96%의 공급률을 기록중이다. 연구시설용지는 92% 공급률을 보이고 있다.

반면 지원시설용지는 12%만 분양됐고 생산시설용지는 공급률이 38%에 그치고 있다.

그러나 토지공사는 아직 분양시장에 내놓지 못한 토지가 많고 오송단지 완공까지 시간이 많아 100% 분양에는 큰 무리가 없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오송단지 위기설
최근 제기되고 있는 위기설은 오송단지 활성화를 좌우할 프로젝트에 변수가 나타났기 때문.

우선 오송 이전이 확정된 4대 국책기관(식약청, 질병관리본부, 독성연구원, 보건산업진흥원) 가운데 식약청이 축소·분리될 위기에 처해 오송단지 이전을 장담할 수 없게 됐다,

정부는 김칟말라카이트·급식파동이 잇따르면서 식약청에서 식품안전처를 분리해 독립기구화 하는 방안을 추진중이다.

정부안을 국회가 동의하면 식약청은 식품안전처와 의약품관리본부로 분산된다.

이처럼 식약청이 분리되면 식품안전처가 보건복지부에서 국무총리실 산하기관으로 떨어져 나갈 예정으로 있어 보건복지부 소속인 의약품관리본부만 오송에 입주할 수 있다.

세계적 기업인 모 백신회사의 오송 이전이 답보상태에 있는 것도 위기설을 뒷받침하고 있다.

중국, 대만, 싱가폴이 유치경쟁에 나서고 있는 데다 이 회사가 정부측에 백신구매 등 무리한 요구를 하고 있어 오송이전 협상이 멈춘 상태다.

이 회사가 오송에 입주할 경우 산업특성상 고용창출 효과는 적지만 입주했다는 사실만으로 오송단지를 알리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여 충북으로서는 놓치기 아까운 ‘대어’다.

오는 2008년 오송에서 개최될 예정인 ‘오송국제바이오하이테크박람회’가 무역협회와 보건산업진흥원이 열고 있는 ‘바이오 코리아’행사와 통합된 것도 위기설의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다.

▶위기설 해법과 활성화대책

식약청이 식품안전처와 의약품관리본부로 분리될 경우 2개 기관이 모두 오송으로 이전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의 적극적인 관심이 요구되고 있다.

충북도와 정치권의 끈질긴 노력이 시급한 상황.

도는 식품안전처가 보건복지부 품을 떠나 국무총리실 산하기관이 돼도 바이오산업과 연관됐다는 점을 명분삼아 오송 이전을 성사시키겠다는 계획이다.

정우택 충북지사와 충북도는 여러 채널을 통해 식약청의 분리계획 철회를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있으며 분리될 경우 식품안전처의 오송 이전을 강력히 호소하고 있다.

오송국제박람회와 바이오코리아의 통합을 전화위복의 기회로 삼기 위해서는 행사개최의 주도권을 가져와야 한다.

자칫 행사주도권을 무역협회나 보건산업진흥원에 빼앗겨 도가 들러리로 전락하거나 수도권에서 행사가 열릴 경우 득보다 실이 크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이를 우려해 도는 다음달 있을 공동개최 실무협의에서 충북의 요구가 수용될 수 있도록 강력하게 밀어붙일 방침이다.

특히 무역협회와 바이오코리아를 공동개최하고 있는 보건산업진흥원이 오송으로 이전한다는 점을 이용해 2008년 이후부터 오송에서 행사를 개최하는 방안을 강력히 주장키로 했다.

현재 상황에서 세계적인 백신회사를 오송에 유치할 수 있는 해법은 뚜렷하게 없다.

정부와 충북도가 노력하고 있지만 좋은 이전 조건과 이윤을 따라가는 기업의 생리를 만족시키지 못할 경우 성사 가능성은 희박하다.

이 회사가 이미 다른 나라로 눈을 돌렸다는 얘기도 들리고 있다.

도 관계자는 “오송단지 활성화에 변수가 등장했지만 크게 걱정할 정도는 아니다”라며 “국책기관 이전과 기업유치에 총력을 기울여 오송단지를 국내바이오산업의 메카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오송단지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역사회의 관심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