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내과 원장

[충청매일] 환자에게 약물을 투여할 때 대부분의 환자들은 유효하고 안전한 치료 효과가 나타나기를 원한다. 하지만 원하지 않는 약물 부작용이 발생 되어 환자와 의사 모두 당황하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환자는 의사가 약을 잘못 처방해서 부작용이 생긴 것으로 생각해 의사에 대한 불신이 생기고 치료과정을 거부하기도 한다.

물론 약물 처방시 그 약물이 가지고 있는 특성과 관련된 부작용의 경우는 어느 정도 미리 예상 할 수도 있지만 특발성 알러지 반응 같은 경우는 어떤 사람에게 생길지 미리 알 수가 없어 환자의 약물 알러지 과거력에 의존할 수 밖에 없다.

약제에 대한 알러지 반응은 면역기전과 관련된부작용으로 전체 약물 부작용의 5~10%에 해당 된다. 알러지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것은 약제나 약제의 체내 대사물, 약제 중에 함유된 미량의 혼합물이나 약제 첨가물 등이고 알러지성 약물 반응의 유발 경향에 영향을 주는 인자는 약물의 형태, 약물에 대한 노출 정도, 약물의 투여 경로, 개체의 반응성 등이 있다.

알러지성 약물 반응의 유발 경향을 보면 일반적으로 여러 가지 약물을 사용하여야 하는 질환을 가진 성인 환자에서 발생 빈도가 높고, 이전에 다양한 약물 부작용을 경험한 적이 있는 환자는 다른 무관한 약제에도 반응하는 경향이 있었다.

약제에 따른 알러지 발생 빈도를 보면 항생제(Antibiotics)가 가장 많았고 소염진통제(NSAIDS) 종류가 두 번째로 많았다.

항생제 중 조직 단백과 공유결합하기 쉬운 betalactam 계 및 Penicillin 계 항생제 등이 알러지 발생 빈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합성 인슐린이나 방사성 조영제(radiocontrast media)와 관련된 알러지 반응의 발생빈도도 일반 약제들보다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약물의 투여 경로와 관련된 약제 알러지의 발생 경향은 경구 투여가 가장 안전하고 주사 중에서는 정맥 내 투여가 가장 안전하며 근육이나 피부로 투여하는 경우에 감작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급성 면역반응인 1형 면역반응으로 감작 되면 어떤 경로로 재투여하든 다시 아나필락시스가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개 항생제 주사 투여시 사전에 피부 시험을 먼저 실시 하는데 피부 시험 결과가 음성 반응을 나타내었어도 약물 투여후 알러지가 발생하는 경우가 적지 않으므로 항상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환자는 자신의 약제 알러지 과거력에 대해 의사에게 되도록 자세히 알려주는 것이 중요한데 약제 알러지 반응의 특성이 정확히 조사되지 못한다면 치료시 불이익을 받을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알러지 반응이 발생된 약물이 환자에게 가장 유용한 약물인 경우 예전의 알러지 반응이 가벼운 정도였다면 그 처방이 제외 될 때 환자는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게 될 수있고 반대로 과거의 심한 알러지 반응을 모르고 약물 재투여시 환자의 안전에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약제 알러지 반응이 심각한 경우 투약을 중지하고 다른 치료약제로 변경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알러지를 유발하는 약제가 환자의 치료 상황에 꼭 필요한 경우 탈감작이 제안될 수 있으며 탈감작이 불가능 한 경우는 항히스타민제 등의 약제로 예방적 처치를 하고 투여하는 것이 심각한 알러지 반응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