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자고 나면 천정부지로 오르는 물가로 인해 소비자들의 불만 섞인 목소리가 높다.

국민의 기대와는 달리 물가 상승이 지속되자, 가뜩이나 코로나19로 어려워진 서민경제를 더 곤궁하게 만들고 있다는 게 사회적 여론이다. 정부의 물가잡기 발표에도 고삐 풀린 물가는 정부 물가 안정화 정책을 비웃는 듯 치솟으며 상승 일변도다.

물가 상승에 따른 국민들의 불안과 걱정하는 모습은 어느 때보다 역력하다. 장바구니 물가가 피부로 느낄 정도로 가파르다는 게 시장을 보는 주부들의 한결같은 불만의 목소리다. 코로나19와 겹친 소비자물가 상승이 경제 상황을 더 어렵게 하는 현상으로 이어져서는 안 된다.

국민의 생활과 직결되는 자동차 유류가격 역시 고공행진으로 고물가에 힘을 보태고 있다. 정부의 유류세 30% 인하에도 국민이 느끼는 기름값은 폭등 수준이라해도 과언이 아니라는 게 국민들의 인식이다. 산유국의 원유가격 인상에 따라 어쩔 수 없다지만, 경유와 휘발유 가격 급등은 국내 경제뿐만 아니라 국민 모두에게 타격이 크다는 사실이다.

이뿐만 아니다. 식생활에서 빠질 수 없는 달걀 가격만 예를 들어도 지난해 초 30개들이 한판에 4천~5천원 하던 달걀 가격은 하락의 기미 없이 현재도 7천원 가격표를 유지하고 있다. 특히 요지부동 생활 물가의 가격을 형성에 따라 소비자들의 지적을 피할 수 없는 상황이다.

식재료 가격 상승으로 학생들의 학교 급식에도 비상 걸렸다. 식재료 폭등 탓에 어린이들의 급식에 단백질이 줄어들고 있다. 식재료 단가 맞추기가 어렵다는 이유다. 학부모와 학생들의 불만의 목소리가 높아지지 않을 수 없다. 물가 파동을 겪어도 식재료 가격의 동시 상승은 처음이라는 게 학교 관계자의 우려 섞인 목소리가 학교급식 현장에서 터져 나왔다.

이런 현상은 소비둔화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는 게 전문가의 판단과 함께 국민들의 정서라 하겠다. 한정된 생활비에 소비자물가는 자고 나면 오르는 현실을 볼 때, 국민들 스스로 가정경제 절약을 추구할 수밖에 없다는 이론적 분위기다. 자연히 국민의 소비가 줄어들게 돼 경제적 위축을 예상하지 않을 수 없다.

급격한 물가 상승은 소비자인 국민이 제일 먼저 피부로 느끼는 게 된다. 1년 넘게 상승하는 소비자물가가 좀처럼 안정을 찾지 못하자 국민의 피로감도 높다. 장기간 이어지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미미한 물가 상승에도 민감해진 국민의 팍팍한 생활이 그대로 노출되고 있다.

가뜩이나 장기간 코로나19 방역으로 생활에 어려움을 겪어야 하는 국민에게 먹고 사는 생활물가 상승은 고통으로 이어져 볼멘소리가 터져 나올 수밖에 없다.

특히 국민 밥상물가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농·수·축산물의 경우 오름세가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으면서 물가 안정에 발목을 잡는 반발적 모양새가 나타나고 있어 더 그렇다.

게다가 올해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011년 이후 1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 국내 물가관리에 허점을 드러냈다는 게 일반적 지적이다. 천정부지로 치솟는 물가 상승, 방관해서는 안 된다. 정부와 관련 부처의 적극적인 물가 안정화 대책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물가 안정은 국민의 생활기대치를 높여주는 데 차지하는 부분이 크다. 고삐 풀린 듯, 폭등하는 물가 잡기, 정부가 나서서 특단의 대책을 세워 추진해야 한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