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고령화는 생각보다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UN 발표자료에 따르면 2045년이면 우리나라가 세계 1위 고령국가가 된다.

통계청에서는 우리나라가 2025년 전체 인구의 5명 중 1명이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되는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했다.

2040년에는 고령인구 중에서도 75세 이상 초고령 인구가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지금도 국가경제 전반에서 고령화 사회로 인한 각종 문제들이 서서히 드러나고 있다.

저축률과 투자율의 감소, 의료비용 및 요양보험료 등 각종 사회보장 비용의 증가현상 등이 시간이 갈수록 심화될 것이 확실시 된다.

때문에 고령화의 급속한 진행에 따라 국가경쟁력의 확보를 위해 대응방안 마련이 사회 전 분야에서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며, 특히 산업측면에서 수요·공급, 생산성 등 고령화의 영향이 증가함에 따라 적극적인 대응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초고령화 사회 진입을 앞두고 이른바 ‘실버 생태계'의 잠재성이 높아지고 있다.

최근 다양한 기업들이 기존 사업과의 시너지를 내며 실버 산업에 속속들이 진입하고 있다. 오프라인 영역 뿐만 아니라 온·오프라인을 망라하는 것이 특징이다.

미국, 일본, 유럽 등 우리나라보다 베이비부머 세대의 고령화가 먼저 진행된 국가들은 고령자 중심의 시장을 새롭게 형성하고 고령친화산업 육성에 주력하며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유연한 산업정책을 펼치고 있다.

초고령 사회를 대비한 디지털 기반 고령친화산업의 성공적 안착과 지속가능한 혁신 일자리모델의 발굴과 확산을 통해 위기를 기회로 만드는 지혜가 필요하다.

초고령화 사회 산업분야에서는 위기와 기회요인이 복합적으로 발생한다.

생산인력의 고령화는 노동투입 감소, 자본효율 감소, 생산성 저하 등을 초래해 기존 산업의 발전에서 걸림돌로 작용한다.

반면 최근 교육 및 자산소득이 높고 문화적 수용성이 높은 베이비부머 세대가 새로운 고령층으로 부상함에 따라 고령자 혹은 예비 고령자들의 수요를 반영한 새로운 제조업 및 서비스업의 성장 가능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정부는 늘어나는 고령인력 활용을 위해 선제적으로 중장년층의 창업지원과 장기재직을 유도하는 사회 환경을 적극 조성해야 한다.

숙련인력의 은퇴에 대비해 이들의 지식과 경험을 산업자산화 하는 계획도 적극 추진해야 한다.

특히 고령자 생활편의를 위한 신약, 의료기기, 서비스 로봇, 자율주행 자동차 등 융합 제품·서비스의 기술개발을 지원하고 관련 산업지원과 인력양성을 통해 ‘고령친화산업’ 생태조성에 적극 대응하는 것이 미래 국가 경쟁력을 가르는 결정적 선택이 될 것이다.

초고령화 사회 진입을 앞두고 있는 우리나라도 선진국의 사례처럼 고령친화산업을 정책의 최상위 순위에 놓고 더욱 세밀하고 체계화 된 전략의 추진을 통해 국가경쟁력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