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승 일변도를 보여온 물가가 결국 4%대의 높은 상승을 현실화시켰다. 4%대 물가상승률은 지난 2011년 12월(4.2%) 이후 10년 3개월 만이라는 게 이달 5일 통계청 발표에서 나타났다. 

고물가 현상은 이미 예견된 일이다.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시름하는 국민들에게 지난해 10월부터 이어진 물가상승률은 또 다른 생활고를 겪게 만들었다. 유류가격 상승에 편승한 소비자물가는 높은 상승세로 나타나 물가 관리에 빨간불이 켜졌다.  

이미 지난해부터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심상치 않은 조짐을 보였다. 각종 생필품 물가를 비롯해 장바구니 물가가 서민계층의 국민을 어렵게 만들었다. 눈에 띌 정도로 농산물 가격까지 크게 상승하면서 주부들은 장바구니 물가에 대한 불만 섞인 목소리도 터져나왔다.  

이를 입증하듯,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021년 10월 3.2% 이후 11월 3.8%, 12월 3.7%, 2022년 1월 3.6%, 2월 3.7%까지 계속 이어졌다. 5개월 동안 꾸준히 3%대 이상을 유지하며 상승세는 좀처럼 꺾이지 않는 추세를 보여 국민에게 물가 불안을 지속시켰다. 

게다가 국제유가 상승으로 이어진 휘발유와 각종 에너지 관련 유류가격 급등은 엎친 데 덮친격으로 물가 상승을 부추겼다. 코로나19 확산세로 어려움에 처한 국민은 치솟는 생활물가로 인해 시름섞인 한숨만 깊어질 수밖에 없는 게 전부였다.

이런 현상은 국내 소비자물가를 10년 만에 최고치(4.1%)로 끌어올려 고물가 시대의 국민에게 고통을 안겨주는 생활경제의 악순환을 나타냈다. 정부가 물가잡기에 직접 나서고 있지만, 이에 대한 물가안정 효과는 쉽게 나타나지 않을 전망이다. 

특히 소비자물가 상승은 지난해 연초부터 시나브로 형태를 보이더니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았다. 물가억제 정책이 허술하기 짝이 없다는 정부에 대한 원성이 높은 분위기다. 올해 3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1% 기록하면서 더 그렇다.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유류세 폭등이 물가상승을 견인했다지만, 때를 만난 듯 생활물가는 폭등 수준의 상승으로 이어져 국민적 비난의 여론은 피할 수 없게 됐다. 

이에 정부는 현재 20% 인하한 유류세를 30%대로 확대 상향하는 유류세를 조정, 다음달 1일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유류세 인하가 물가 상승에 제동이 될지 국민의 관심이 높다. 

급격한 물가 상승으로 인해 직접 피부로 느끼는 서민들은 앉아서 고통을 감내할 수밖에 없는 게 경제적 현실이다. 팍팍한 생활고를 겪는 국민들은 장기간 이어진 코로나19의 영향뿐만 아니라 미미한 물가 상승에도 민감해져 푸념 섞인 불만은 당연하다 하겠다.

가뜩이나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어려움을 겪어야 하는 국민들에게 먹고 사는 생활 물가고까지 겹쳐 고통은 불을 보듯 뻔한 일이다. 자연스레 국민의 볼멘소리가 높아질 수밖에 없다. 

특히 국민 밥상물가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농·수·축산물의 경우 오름세가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으면서 물가 안정은 현재의 물가 현상을 볼 때 기대난망일 뿐이다.  

이는 물가 인플레이션을 걱정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높아지지 않을 수 없다. 또 외식물가 지수와 생활물가, 소비자물가 등 다양한 품목의 물가는 몇 년 만에 최고라는 지적 일색이다. 

5월 10일 새 정부가 출범한다. 국민과 약속한 공약 실천도 중요하다. 하지만 4%의 높은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멈출 수 있는 물가안정 대책을 하루빨리 세워야 한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