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계적 일상 회복 시행 한 달 만에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5천명 문턱을 넘어섰다.

위중증 환자 수도 처음으로 700명을 넘었고 수도권 중환자 병상 가동률은 90%에 육박했다.

현행 방역 체계에 변화가 없다면 새해 1월 들어서면 확진자가 7천명에 이르고, 1월 말에는 1만명이 넘을 것이라는 인공지능(AI)을 활용한 감염병 유행 예측 알고리즘의 계산 결과도 공개됐다.

하지만 최근의 확산세라면 AI 예측보다도 확진자 증가 속도는 훨씬 더 빨라질 것이다.

여기에 전파력이 몇 배 강하다는 새로운 변이 오미크론마저 국내에서 첫 확진 판정이 나왔다. 델타 변이처럼 오미크론의 확산도 시간문제가 됐다.

오미크론 변이의 확산세는 무서울 정도다. 11월 24일 아프리카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처음 보고된 뒤 일주일 만에 유럽·아시아·북미 등 6대주 전역에서 감염자가 나왔다.

일본에서도 이미 두 번째 감염자가 발생했는데, 우리나라에서도 나이지리아를 다녀온 부부 등 4명이 국내 첫 오미크론 감염이 확인됐다. 게다가 이들의 항공편을 통해 45명이 입국했다는 사실은 추가 전파 우려를 불러일으킨다.

게다가 최근 오미크론 변이 확진자가 나온 독일과 네덜란드 출신의 국내 입국자가 코로나 확진 판정을 받았다는 점, 일본에서 오미크론 감염이 확인된 나미비아 외교관이 인천공항을 경유했다는 점 등이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앤서니 파우치 미국 국립 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 소장은 ‘5차 대유행’ 가능성까지 언급했다.

국내 확진자 수가 연말까지 1만명으로 폭증할 것이라는 우울한 전망도 나온다.

단계적 일상 회복(위드 코로나) 시작 한 달 만에 찾아온 절체절명의 위기 상황이다. 그럼에도 정부가 제시한 ‘의료 및 방역 후속 대응 계획’에서는 위기감이 보이지 않는다.

확진자가 발생하면 기본적으로 집에서 치료받도록 하고, 추가접종을 서둘러 위중증 환자 발생을 억제하겠다는 것이 대책의 핵심이다. 하지만 재택 치료는 확진자와 함께 사는 동거인도 격리될 수밖에 없는 만큼 자칫 환자 가족의 생계마저 위협받을 수 있다는 목소리가 벌써부터 터져 나오고 있다.

현재 추세대로 환자가 늘어나면 병상과 의료인력 역시 추가접종 효과가 나타나기 전에 한계를 맞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 의료계 진단이다.

물론 방역 위기가 닥쳤는데도 정부가 사적모임 제한과 영업시간 단축과 같은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를 선택하지 않는 배경에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의 고통이 있다는 사실을 모르지 않는다.

오미크론 변이 유입을 막기 위한 이 같은 입국 강화 조치 등 긴급 방역은 다급한 사안임이 분명하다. 하지만 확산 일로의 국내 확진자 관리 대책과 지역 감염 확산 차단 등 방역 강화에 더욱 주력해야한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