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의 여파로 2025년까지 단순 노무직과 서비스직 일자리 21만개가 사라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지난 9일 ‘코로나 위기가 초래한 고용구조 변화와 향후 전망’ 보고서를 통해 “코로나19에 따른 기술발전 방향의 전환으로 2025년까지 단순 노무·서비스 노동수요가 21만명 감소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KDI는 “코로나 시기에는 비대면 근로가 어려운 직무에서 비용이 증가해 향후 기술발전은 비용이 높은 대면 근로를 대체하는 방향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크다”며 “이런 기술변화는 단순 노무·서비스 직군의 노동수요가 감소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설명했다.

산업별로는 저숙련 서비스업에서, 연령별로는 단순 노무·서비스업 종사자 비중이 가장 큰 60대 이상 고령층에서 노동수요가 상대적으로 많이 감소할 것으로 분석됐다 실제로 코로나19에 따른 고용 충격은 재택근무 등 비대면 근로 전환이 어려운 일부 서비스 업종에 집중됐다.

코로나19 확산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지난해 3월부터 올해 2월까지 1년간 취업자 수는 전년 동기 대비 42만8천명 감소했는데, 그중 대면서비스업인 숙박·음식점업(-21만7천명)과 도소매업(-17만7천명) 취업자 수 감소폭이 가장 컸다.

현재 우리사회는 경력단절 여성이나 노인들이 취업시장에 발을 들여놓기가 더더욱 어려워 졌다.

대학 졸업을 앞두고 있는 청년들이 일자리 찾기를 포기하는 등 사회적 약자일수록 일자리를 찾기가 어려워진다는 얘기다.

실제 실업체감도를 보여주는 청년 확장실업률은 26.8%로 역대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는 상황이다.

게다가 코로나19의 여파로 인한 고용절벽이 현실로 나타나고 있는 상황에서 고용난이 고용취약 계층으로 번지고 있어 우려가 더욱 깊어지고 있다.

정부는 지난해 ‘한국판 뉴딜'을 통해 향후 2025년까지 160조원을 투입해 일자리 190만개를 창출하겠다고 발표한바 있다.

또 고용노동부는 고용 유지, 실업자 및 취약계층 생계와 일자리 지원, 실업자 재취업 등 금년 중에만 12조원의 예산 투입계획을 발표한바 있다. 하지만 대규모로 투입되는 일자리 예산이 실제 일자리 창출로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현재 대다수 기업들이 순환휴직, 고용유지지원금 등의 제도를 활용해 버티고 있지만 소비위축과 생산둔화가 본격화 되면 이마저도 바닥을 드러낼 것으로 예상된다.

물론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확대되고 경제가 회복세를 보이면서 취업자 수 증가폭이 최근 두 달 연속 60만명대를 기록했다. 상용근로자 수가 늘며 고용의 질도 개선을 보인 것은 사실이지만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는 계속 줄어들고, 제조업 일자리도 감소세라 취업시장의 온도차는 여전하다는 지적이다.

정부는 코로나19로 인한 고용취약 계층에 대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구체적이고 실행 가능한 특단의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