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84년, 당(唐)나라 수도 장안을 점령한 황소의 반란군은 대제(大齊)라는 새로운 나라를 세웠다. 일개 소금밀매업자였던 황소는 왕의 자리에 올랐다. 시작은 정부의 밀매업 단속에 대항하여 일으킨 민란이었다. 그러나 당시 기근에 허덕이던 농민들이 정부의 과도한 세금에 대한 불만과 맞물리면서 그 세력은 급속도로 늘어났다. 당나라 희종은 결국 사천으로 야반도주해야 했다.

황소는 반란군 내에서 제법 똑똑하다는 자들을 각부서의 책임자로 세웠다. 하지만 국정은 생각처럼 쉽지 않았다. 백성의 불만을 해결한다는 것이 도리어 더 엉망진창으로 만들었다. 황소는 머리가 아플 지경이었고 부하들은 쩔쩔매는 상황이었다. 문제의 근본은 각 지방의 실력자들이 황소를 왕으로 인정하지 않는 데에 있었다. 그리고 보이지 않는 내부의 균열이었다.

주온은 황소가 신임하는 부장이었다. 이전에 그는 당나라 군대의 대규모 공격을 받은 일이 있었다. 긴급히 황소에게 구원을 요청했다. 하지만 황소의 좌군사 맹개가 이를 거절했다. 주온의 부대는 패하고 말았다. 주온은 간신히 살아남았으나 이 일로 황소에 대해 원한을 품게 되었다.

황소는 부하들의 공적에 따라 상을 나누어 주었다. 하지만 상을 받지 못한 유력한 부하들은 불만을 품고 황소를 떠났다. 주온이 이를 보고 황소가 곧 망할 것이라 확신했다.

어느 날 황소의 대장군을 살해하고 자신의 군대를 모두 이끌고 당나라에 투항했다. 당나라 조정은 쌍수를 들고 환영했다. 주온에게 장군직을 내리고 전충이라는 이름까지 하사했다. 이때부터 주전충이라 부르게 됐다.

주온이 황소를 곤란하게 만들었다면 이극용은 황소를 궁지에 몰아넣었다. 그는 사타족의 수장이었다. 황소의 난과 비슷한 시기에 당나라 삭주를 점령하고자 공격했다. 하지만 실패하고 도리어 당나라 군대에 사로잡혔다. 당나라에서는 이극용을 죽이기보다는 그를 이용하기로 했다. 너의 죄를 사하고 싶으면 사타족을 이끌고 반란군 황소를 죽여라. 그러면 너의 공로를 인정하여 삭주 땅을 줄 것이며 당나라 절도사로 임명하겠다.

사타족은 모두 체격이 건장하고 검은 옷을 입고 있어서 이들의 출전 모습을 지켜보면 소름이 돋을 정도였다. 그래서 백성들은 이를 무시무시한 까마귀 부대라고 불렀다. 당나라 군대와 연합한 이극용은 차례차례 황소의 15만 외곽군을 격파하고 장안으로 진격했다.

황소는 감히 대적할 엄두를 내지 못하고 위급하게 장안을 빠져나갔다. 도중에 약탈한 당나라 보물들을 길에 흩뿌렸다. 당나라 병사들이 그걸 줍는 사이에 무사히 도망쳤다. 황소는 이리저리 쫓기며 1년 넘게 당나라 군대와 싸웠다. 하지만 태산에서 식량이 떨어지자 결국 스스로 목을 베었다. 이로써 10년간의 반란이 끝이 났다. 사천으로 피난 간 당나라 희종이 다시 장안으로 돌아왔다.

 한계상황(限界狀況)이란 나아갈 수도 이겨낼 수도 없는 막다른 상황을 뜻한다. 나름대로 실력이 있다고 자부하는 자라도 고수를 만나면 숨이 막히고 꼼짝도 못 한다. 그 한계에 이르렀을 때 사람은 비로소 자신이 어리석은 존재라는 것을 깨닫는다.

aionet@naver.com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