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매일]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하고 전력수요 급증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세계 주요 국가들은 에너지전환과 신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재생에너지에 집중·투자하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에 발맞춰 정부는 재생에너지 비중을 2030년까지 전체 발전량의 20%까지 확대할 계획임을 밝히며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 에너지 확대 공급을 예고했다. 지난해 12월 최종발표한 ‘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르면 2034년까지 78.1GW의 신재생 발전설비를 구축해야 한다. 하지만 이러한 정책목표 달성을 위해 연평균 4.13GW의 투자를 유치하기엔 어려움이 예상된다.

소규모 사업자 중심으로 이뤄지는 현행 신재생 발전사업 특성상 규모의 경제 효과가 실현되기 어려우므로 신재생 발전원가가 높을 수밖에 없다. 종합적인 계획 없이 지가가 저렴한 특정 지역에 시설이 집중되는 난개발의 성행으로 인해 다양한 도시문제와 사회적 비용이 발생하고 환경 훼손이 초래될 우려가 크다. 따라서 기존의 한계를 극복하고 신재생 사업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선 기술혁신 및 원가절감을 선도할 수 있는 한전이 직접 공공주도 대규모 사업에 참여하는 것이 필요해 보인다.

한전은 해상풍력 석션버켓, 터빈 일괄설치, 계통연계 등 신재생 연구·개발 부문에서 세계 최고 기술과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한전의 기술과 사업역량을 활용한다면 신재생 발전원가가 절감되고 낮은 가격의 깨끗한 전기 사용환경이 조성되어 소비자의 요금 부담을 덜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신사업 육성을 통해 신재생 개발 입지 지역의 경제가 활성화되고 약 3만명에 달하는 새 일자리 기회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한다.

공동접속설비와 발전사업 단지 조성으로 민간사업자의 신재생 사업 참여 장벽을 낮추고 대규모 신재생 인프라 구축이 가능하다. 대규모 해상풍력 사업은 난개발 방지 및 투자비 절감을 위해 공동 접속설비 구축이 필수적이지만, 민간사업자만으로는 대규모 투자비를 감당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반면 한전이 직접 사업을 추진한다면, 한전과 민간사업자의 투자비용 공동 분담 및 계통 엔지니어링 전문역량을 활용해 최대 1조8천억원(신안 해상풍력 사업 기준)까지 사업비를 절감할 수 있다. 즉, 민간사업자의 사업성을 개선한 사업추진을 통해 규모의 경제를 실현해 성장 가능성과 경쟁력이 무궁무진한 신재생 사업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정부 재생에너지 4030 이행 계획에 따르면, 향후 20년간 신재생 에너지 비율을 30% 달성해 급진적으로 신재생 발전 시장이 성장할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전의 신재생 발전사업 직접 참여가 이뤄진다면, 풍부한 대규모 발전단지 개발 및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발 빠르고 안정적인 사업추진을 해낼 수 있다. 국내 신재생 에너지 사업경쟁력이 상승을 넘어서, 원전 및 석탄발전의 과감한 감축과 신재생 에너지 확대라는 범세계적 기조에 따라 11조 달러 규모에 육박하는 글로벌 신재생 시장 진출까지도 기대해본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