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진명 시인]훈민정음은 세로쓰기를 전제로 만들어진 글자입니다. 근래 30~40년간 가로쓰기에 벌써 익숙해진 우리의 눈으로는 언뜻 이런 생각이 들지 않을 것입니다. 하지만 사실입니다. 글자 표기의 원리가 그렇습니다. 첫소리와 가운뎃소리 그리고 끝소리라는 3성의 틀로 짜였다는 것이 바로 그런 사실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세종은 왜 그렇게 만들었을까요? 진작에 가로쓰기 방식으로 만들면 안 되었을까요? 궁금하죠? 세종이라고 해서 하늘에서 뚝 떨어진 사람이 아닙니다. 아무리 세종이 천재라고 해도 거스를 수 없는 것이 있습니다. 그 사회 전체가 흘러가는 거대한 흐름을 거슬러갈 수는 없습니다. 왜 훈민정음이 세로쓰기를 전제로 한 짜임이냐?

한자의 구조와 훈민정음의 표기 구조는 똑같다는 사실에서 그것을 알 수 있습니다. 보통 한자는 글월을 세로로 발처럼 늘여서 쓰지만, 정작 한 글자를 쓸 때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쓴 뒤에 아래에 획을 덧붙입니다. 훈(訓) 글자의 경우, 言을 먼저 쓰고 川을 나중에 씁니다. 그런데 아래에 획이 붙은 글자는 어떻게 쓸까요? 예컨대 성(聖)이라는 글자의 경우, 耳와 口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쓰고, 그 다음에 王을 두 획 밑에 받쳐 쓴다는 말입니다. 글월의 흐름은 위에서 아래이지만, 한 글자를 쓸 때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간다는 말입니다. 이것이 훈민정음이 초 중 종 세 소리를 결합하여 만든 까닭입니다. 한자를 써나가는 버릇으로부터 훈민정음의 쓰기 방식이 저절로 흘러나온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훈민정음은 먼저 첫소리를 쓰고 그 오른쪽에 가운뎃소리를 쓰고, 밑에다가 끝소리인 받침을 받쳐쓰게 되었습니다. 이 짜임이 바로 한자 쓰기의 흐름으로부터 왔다는 말입니다. <聖>과<성>을 견줘보면, 짜임의 동일성을 잘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가로쓰기로 글월을 배치할 경우, 위에서 아래로 쓰는 받침을 처리하기가 아주 골치 아파집니다. 한글의 타자기 자모 배치가 힘겨웠던 것도 그런 까닭입니다. 받침 때문에 타자기에서 똑같은 닿소리를 밑에 쳐주기 위하여 누름쇠(쉬프트 키)를 하나 더 만들어야 했던 것입니다.

이렇게 타자기 문제 때문에 한글의 자모 배치가 골머리를 썩일 무렵(1970년대), 한글학자 최현배 씨는 아주 참신한 제안을 한 적이 있습니다. 즉 영어의 알파벳처럼 한글의 자모도 옆으로 늘여서 배치하자는 것입니다. 이른바 <한글풀어쓰기>입니다. 받침을 밑에 쓰는 것이 아니라 가운뎃소리의 뒤에 쓰자는 제안이었죠. 1970년대면 벌써 한글의 가로쓰기가 자리잡고 출판물도 어마어마하게 만들어진 뒤여서 이 제안은 아무리 좋다고 해도 사회에서는 받아들이 어려운 것이었습니다만, 일단 제안은 아주 참신했던 것으로 기억납니다. 그래서 최현배 씨는 가로쓰기에서 알바벳처럼 우리 글을 배치하기 위하여 닿소리와 홀소리의 모양까지 과감하게 새로운 모양으로 하자고 제안하기도 했습니다. 예컨데 홀소리 ‘ㅡ'의 경우, 작대기 같아서 그냥 줄긋기 표시인 ‘_'와 구별이 안 되니, 영어의 유(U)자를 엎어놓은 모양으로 쓰자는 방식이었죠. 청계천 7가 언저리의 헌책방에서 이 희귀한 책을 어렵게 구하여 혼자 읽었는데, 이 희귀한 책은 저만이 아니라 남에게도 소장본능을 자극했는지, 그 뒤로 저의 책장에서 슬그머니 사라져버렸습니다. 그 책을 제 책장에서 빼내간 그 누군가도 지금 저처럼 이런 글을 써서 나름대로 사람들에게 정보를 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네요.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