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매일]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한 인구절벽은 수도권을 제외한 소규모 지방 마을들을 존속의 위기로 내몰고 있다. 이른바 ‘지방소멸’이다.

한국 고용정보원 조사 결과, 지난해 5월 기준 전국 228개 시·군·구 가운데 46%가 ‘소멸 위험지역’으로 분류됐다. 대부분 비수도권인 지방이다. 이러한 지방소멸은 20∼30대 청년인구의 급격한 감소가 가장 큰 원인으로 여겨진다. 이는 주로 학업과 직업을 이유로 청년들이 수도권으로 떠난 뒤 다시 돌아오지 않기 때문이다. 이를 증명하듯 각 지방에 위치한 대학들도 최근 정원을 다 채우지 못하는 등 그 지역과 함께 소멸의 길로 가고 있다.

이같이 학령인구 감소와 일자리를 찾아 수도권으로 떠나는 청년 인구 유출로 위기에 놓인 지방자치단체가 대학과 함께 ‘지학(地學) 협력’ 체계를 구축하는 등 새로운 돌파구 마련에 나서고 있다. 지학 협력의 핵심은 지자체가 대학 육성의 주체로 나서는 것이다.

지금까지 중앙정부가 해온 역할을 지방정부가 주도하자는 뜻이다. 지자체와 대학이 협업해 맞춤형으로 우수 인재를 육성해 이들의 지역 정착을 유도하고, 산업 경쟁력을 강화해 지역경제 활성화를 이끄는 ‘일석이조’의 성과를 거둘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지방자치단체나 지역대학 어느 한쪽만의 개별적인 노력으로는 학업과 직업 여건 개선이 어려우므로, 지방자치단체-대학-지역혁신기관 간 협력체계를 구축해 지역의 경제·산업체계를 뒷받침하는 지속 가능한 인재양성 및 활용체계를 만든다는 전략이다.

이것이 지방소멸을 막을 수는 없지만 사전에 지자체와 지방대학이 협업체계를 마련해 지역인재 양성과 취업 및 창업, 그리고 정주를 아우르는 선순환 구축을 지원한다면 지방소멸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지방자치단체나 지역대학 어느 한쪽만의 개별적인 노력으로는 학업과 직업 여건 개선이 어려우므로, 지방자치단체-대학-지역혁신기관 간 협력체계를 구축해 지역의 경제·산업체계를 뒷받침하는 지속 가능한 인재양성 및 활용체계를 만들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지역 대학이 양성한 인재가 지역에서 일자리를 구하고 지역에 뿌리내릴 수 있도록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려면 지자체 차원의 지원정책 마련도 필요하며 인구 소멸 위기에 직면한 일부 기초 자치단체도 지역 정주 대학생에게 지원금을 지급하는 등 지역인재 ‘끌어안기’에도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이에 따라 지방자치단체는 싱크탱크 기능으로 지방대학을 적극 활용하고 지방자치단체와 지역기업체와 사회단체와 지방대학이 공동의 목표를 갖고 합심해 나갈 수 있는 소통협력 협의체를 구성하고 주기적으로 상호토론의 기회를 가져야 하며 산관학 협력기능을 수행하는 지방대학들에게 최대한 재정적인 지원을 제공하고, 교육부와 산자부 및 중소벤처기업부 등 중앙정부에 지역발전을 추진하는 대학들에게 적극적인 지원을 해야 한다.

심훈의 ‘상록수’에서 많은 지식인들이 농촌의 현장에 가서 지식과 정보를 공유하였듯이, 이제 지방대학은 현장중심의 학문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현장이 답’이라는 말처럼 이제 지방자치단체와 지방대학은 같이 뜻을 모아 지역이 지닌 모든 자원과 에너지를 함께 모아 현장에서 살아 움직일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지방자치의 본 뜻을 실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자체와 대학이 공동의 운명체로 상생을 위한 방안을 함께 모색할 때 지방소멸은 딴 이야기가 될 것이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