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매일] 경찰청이 최근 일선에 하달된 ‘가상통화(가상·암호화폐) 보유·거래 지침’을 통해 수사·청문 부서에 근무하는 직원들의 가상화폐 취득을 금지사켰다.

이에 따라 수사 부서와 청문감사담당관실 소속 직원들의 가상화폐 신규 취득을 금지하고 이미 보유한 가상화폐를 신고하도록 했다.

가상화폐를 새로 취득하거나 보유 사실을 신고하지 않으면 징계하겠다고 경고도 했다.

문제는 광풍의 암호화폐 시장이 여전히 뜨거운 관심사이고 주택시장의 ‘영끌’, ‘빚투’가 주식시장으로 옮겨가더니 이젠 암호화폐 시장으로도 번지는 상황속에 경찰청이 이 같은 조치를 내린 것에 대한 경제개념의 문제다.

문제는 한국의 가상화폐가 인근 중국보다 높게 거래되다보니 중국가상화폐 거래인들의 환치기(?) 창구 되고 있고 이 같은 상황에 한국의 2030세대들은 가상화폐로 몰리고 있으니 이를 주먹구구식으로 차단 할려고만 하는 현실이 문제다.

주식과 암호화폐 시장의 2030세대의 투자 행태가 불안정하고 비이성적으로 비친다고 단정할 것이 아니라 왜 2030세대들이 영끌·빚투를 통해 ‘몰빵·한탕’ 방법으로 가상화폐에 쏠리는 가를 분명하게 짚고 넘어가야 한다.

최근 한 통계조사에 따르며 빚낸 주식 투자자 비율이 30대(17%)와 20대(16%)가 전 연령대에서 가장 많고 특히 올해 암호화폐 신규 투자자도 20대(33%)와 30대(31%)가 무려 3분의 2에 해당하는 분포를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2030세대에 들에 대한 위협적인 존재로 인식된 것은 지난 재보선 선거에서 나타났듯이 당시 여야를 막론하고 이들에게 한 표라도 더 얻기 위해 정치권이 2030세대들을 잡기 위한 다양한 공약을 내놓은 것을 보면 충분히 알 수 있다.

이런 2030세대, MZ세대가 왜 비트코인에 열광하는 것일까.

가격 급등락에 따른 단기 이익을 보고 투자에 열을 내기도 하겠지만 그 밑바탕에는 또 다른 이유가 잠복해 있다.

이를 파악하려면 먼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로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그렇게 살아난 금융회사와 기업의 CEO들은 그 돈으로 성과급 파티를 벌였고, 이에 분노한 개미 투자자들은 ‘월가 점령’이란 극단적인 시위를 하기도 했다.

이런 사태를 경험하면서 달러와 제도권 금융, 중앙정부에 대한 불신이 커졌고, 누구도 개입이나 조작할 수 없는 화폐를 꿈꾸는 그룹이 생겨나게 됐다.

이것이 2009년 비트코인이 탄생한 배경이다.

이들의 선택이 맞든 틀리든 MZ세대는 중앙화된 정부나 기업에 발행이 좌우되지 않고, 정해진 규약의 프로그램에 의해 발행되고 거래되는 비트코인을 선호하고 있고 이를 넘어서 좀 더 투명하고, 공정한 경제·사회·문화를 요구하고 있다. 이들의 참여와 소신의 표현들이 우리 사회를 조금씩 변화시키고 있는 것 또한 무시할 수 없는 사실이다.

이 같은 2030세대들을 인정하고 기성세대들이 부동산과 주식으로 ‘한탕’을 했다면 이들은 가상화페를 통해 이들의 ‘한탕의 꿈’을 실현시키려 하고 있다.

공정성·투명성을 기반으로 특정 집단에 좌우되지 않는, 정해진 규칙대로 발행되고 운영되는 화폐, 금융, 기업, 사회를 요구하는 MZ세대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할 때가 아닌가.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