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매일] 정부가 이달 말 소상공인과 영세사업자들을 위한 4차 재난지원금 지급을 서두르고 있다.

2년째 접어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병(코로나19)에 따른 경제 침체와 청년고용 한파까지 겹쳐 불가피한 선택으로 여길 수밖에 없다는 게 국민들이 보는 시각이다.

현재 침체된 경제와 정부 일자리 정책의 어려운 실마리를 풀어줄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한창이다. 그렇지만, 아직은 백신 접종은 시작에 불과해 전문가들은 갈길이 멀다는 지적이다.

장기간 이어지는 코로나19 상황으로 침체된 경기가 좀처럼 풀리지 않으면서 청년들의 일자리 문제는 절벽 상태의 제자리 걸음이다. 그나마 괜찮은 아르바이트 자리라도 잡는다면 다행이라는 게 청년 실업자들의 한결같은 목소리다. 

청년들의 일자리 문제는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이미 현 정부 초기부터 청년 일자리 정책에 초점이 맞춰져 왔다. 그러나 현재의 청년 실업자 실정을 볼 때 효과는 미약한 수준에 불과하다. 비록 코로나19의 사태를 감안해도 심각한 수준이어서 비난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

이에 정세균 국무총리가 지난 3일 청년 일자리 정책에 대한 강력한 드라이브를 걸고 나섰다. 가뜩이나 청년실업 문제로 고민하던 정부로서는 코로나19 한파로 이중고를 겪어왔다. 정 총리는 정부 역량을 총동원해 보여주기식 단기 일자리가 아닌, 질 좋은 청년 일자리 창출에 힘을 쏟겠다는 의지를 내보였다.

고용노동부 역시 청년 일자리 정책 기본계획에 이어 추가지원 방안을 내놓았다. 기존의 80여만명에 대한 4조4천억원 지원계획보다 추가로 24만6천명이 더 늘어난 1조5천억원의 예산을 새로 편성, 104만여명 청년들에게 총 5조9천억원의 지원계획을 밝혔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경제를 비롯해 고용시장이 좀처럼 풀리지 않자 발빠른 자구책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현재의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청년 일자리 효과를 높이는 게 녹록지 않아 보인다. 우선 기업체의 적극적인 취업 고용 의지가 무엇보다 필요하다. 기업의 일자리 채용에 대한 세부적인 사항이 나와야 하는 이유다.

기업의 직원모집 채용의 협조 없이는 청년 일자리를 기대하기 힘든 부분이어서 정부의 공공부문 일자리에는 한계가 있다. 해마다 반복되는 임시용 공공부문 일자리는 일시적 방편으로 청년들에게 실망만 안겨줄 뿐이다. 

더구나 코로나19에 경제 한파로 일자리 찾기도 어려운 삼중고를 겪는 청년들은 일자리 구하기를 포기한 상태까지 직면했다. 이에 정부는 구직 청년들에게 ‘구직독려’ 일환의 현금 지급 방안을 추진한다지만, 해결책이 될 수 없다는 목소리가 높다.

코로나19로 인해 청·장년층과 아르바이트 자리까지 말 그대로 고용절벽이 드러나 실업대란이라 할 수 있다. 그만큼 악화한 청년 고용시장의 심각성을 가감없이 보여준 셈이다.  

이런 문제로 인해 청년층의 무기력증을 심화시키고 있다는 분석도 제기되는 상황이다. 정부는 확실한 일자리 정책을 펼쳐 구직 청년들에게 안정적 활로 모색의 기회를 만들어 주어야 한다는 국민의 지적을 귀담아들어야 한다.

청년들에게 안정된 일자리는 미래의 삶과 직결되는 최우선의 문제로 꼽힌다. 정부의 발표대로 어느 때보다 청년들에게 희망을 주는 실효성 높고 내실 있는 청년 일자리 정책의 역량을 보여줘야 하겠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