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매일] 새해 들어서도 청년고용 불황은 좀처럼 벗어날 조짐이 없어 보인다. 일자리 정부를 표방한 정부 부처의 고민이 깊어질 수밖에 없는 문제다. 코로나19로 경기침체 작용에 의한 기업체의 고용실태 상황이 살아나지 못하면서 심각한 고용 쇼크를 예견할 수 있는 부분이다.

지난해 5월 정부는 코로나19로 바닥인 실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56만개 일자리 창출 계획을 내놓은 바 있다.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고용 한파로 얼어붙은 일자리 만들기 자구책의 정책이다. 그러나 해를 넘겨도 청년 일자리 문제는 좀처럼 효과를 내지 못한 상황이 이어졌다.

이는 통계청이 지난 10일 내놓은 고용동향에서 그대로 드러나 1월 청년층의 고용률은 41.1%로 1년 전 대비 2.9%포인트나 추락한 수치를 보였다. 현재 전체 실업률은 5.7%로 2000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며 청년층 실업률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또 통계청은 지난달 고용실태 조사를 통해 157만개 일자리가 줄어드는 최악의 역 현상 실업자 수치를 내놓았다. 이를 입증하듯, 청년층 취업자는 364만2천명으로, 1년 전과 비교해 31만4천명이 감소됐다. 1999년 2월(-32만2천명) 이후 가장 큰 폭의 하락으로 꼽혔다.

가뜩이나 청년 취업률이 저조한 데다 코로나19로 인해 전 연령층에서 고용률이 크게 하락하자 실업자들에게도 타격이 컸다. 말 그대로 고용 절벽에 따른 실업대란의 지적이 나올 수밖에 없게 됐다. 그만큼 악화한 청년 고용시장의 심각성을 드러냈다는 분위기다.

특히 취업 전선에 새롭게 뛰어든 20∼29세 청년 취업자가 25만5천명 감소한 수치는 청년실업 문제에 대한 경종으로, 심각하지 않을 수 없는 대목이라 하겠다.

이뿐만 아니다. 코로나19의 사태로 모든 게 여의치 않자 학생들의 학업중단이 속출하고 있다. 휴학 중인 대학생들은 지난해 12월부터 줄곧 아르바이트 자리를 찾고 있지만, 쉽지 않다는 게 이들의 푸념이다. 취업은 둘째고 아르바이트로 일할 곳이 없다는 절망 가득한 목소리다.

이유는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로 카페나 PC방 등의 아르바이트 수요가 있는 곳은 대부분 문을 닫아 더 그럴 수밖에 없다. 아예 영업을 접고 폐업까지 한 곳을 부지기수로 당연히 아르바이트 잡기는 쉽지 않은 게 현실이다.

이런 문제로 인해 청년층의 무기력증을 심화시키고 있다는 분석도 제기되는 상황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새롭고도 확실한 일자리 정책을 펼쳐 청년들에게 안정적 활로 모색의 기회를 만들어주어야 한다는 지적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국가 재정을 투입해 각종 고용지원금이나 공공일자리 확대에 의존하려는 청년층을 늘려나간다면 취업 준비 청년들에게는 또 다른 갈등 상황을 안겨줘 문제만 유발할 뿐이다. 

코로나19에 따른 영세 소상공인에 대한 재난지원금 지급도 중요하다. 하지만, 청년들의 일자리 찾아주기 정책이 뒤처져서는 안 된다. 임시방편의 단기적 공공기관 일자리보다는 청년들에게 미래를 보장해 주는 일자리 정책에 심혈을 기울여 희망을 심어줘야 하겠다. 

이에 정부는 3월 중 청년과 여성 맞춤형 일자리 대책을 계획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보다 근본적 개선 방안이 없이는 일자리 문제의 실마리를 풀지 못한다는 지적의 자구책으로 보여진다. 코로나19로 꽁꽁 얼어붙은 청년실업 문제의 해결책이 절실한 실정이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