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매일] 코로나19는 세계경제에 있어 시련이자 위기이다. 국내경제도 제조업, 서비스업, 관광업, 요식업 등 수많은 산업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이로 인한 변화의 움직임도 감지되고 있다. 쇼핑, 문화생활 등 온라인 기반의 산업이 급속도로 각광을 받는 등 반대급부가 분명히 생겼다.

재택근무로 인한 비디오 컨퍼런스의 활성화도 주목할만한 변화다. 전문가들은 코로나19 이후 4차산업혁명은 급속도로 발전할 것이라고 예측하며 5G, 인공지능, 빅데이터 증강현실 등의 기술이 급속도로 모든 공장, 기업, 가정에 보급된다고 내다보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나라도 기술혁명의 가속화에 적극 대응하기 위하여 해당분야를 주도할 수 있는 고급 전문인력 양성에 적극 나설 필요가 있다.

그동안 국가 중심의 제조업 산업구조였다면, 이제부터는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서 엔지니어링 분야 직종의 인력을 양성하는 노력이 중요하다.

한국고용정보원의 연구에 따르면 향후 10년간 인구구조 및 노동인구 변화, 산업특성 및 산업구조변화, 과학기술 발전, 기후변화, 라이프스타일 변화 등으로 인해 전 세계에서 700만개 가량의 일자리가 사라지지만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분야에서 210만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전망한바 있다.

단순 반복업무 및 육체노동의 일자리는 물론 의사, 회계사, 변호사 등 전문직종의 일자리 역시 감소되고 그 자리를 자동화와 인공지능이 대신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일자리 청년층과 중장년층의 일자리를 위협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지역일자리 감소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한 상황이다.

무엇보다 기술발전에 발맞춘 지역출신자의 취업경쟁력 강화가 중요하다. 지역의 중견·중소기업에서 필요로하는 전문인력을 양성·교육 시켜서 지역의 우수기업에 채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참여 중소기업에 금융지원, 장려금 혜택 등의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해 지역대학에서도 맞춤형 교육을 위한 커리큘럼을 개설하고 지방정부도 이를 적극 지원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대기업도 스마트팩토리 생산체계 개편과 함께, R&D 분야의 공동연구, 기술자문, 기술 및 장비 인프라를 적극적으로 공유하며 지속가능한 미래융합인재 양성에 힘을 보태야 한다.

특히 일자리 미스매칭 해소를 위한 민관산학의 촘촘한 협업체계가 구축되어야 하며 재직자의 역량개발, 일자리 연계성 강화, 근로자의 스킬 업그레이드 등의 지원도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전세계 일자리 수는 2014년 기점으로 지속 감소하고 있으며 최근 코로나19 발생으로 인해 감소폭이 더욱 확대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내수경제의 부진으로 인해 일자리의 양과 질적인 측면에서 많은 개선이 필요해 보인다.

코로나19는 4차산업 혁명을 더욱 가속화 시킬 수 있는 촉매제로 작용하고 있는 역설적 상황에서 시대의 흐름에 맞는 전략적 일자리 정책 추진을 통해 국가경쟁력 강화에 나서주기 바란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