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매일] ‘벚꽃 피는 순서대로 대학이 망한다’는 말이 있다. 서울과 먼 지역의 대학부터 차례대로 문을 닫을 것이라는 지방대의 현실을 빗댄 전망에서 나왔다. 하지만 이젠 ‘벚꽃 피는 순서 상관없이 망한다’로 대체해야 할 듯 싶다.

종로학원하늘교육이 전국 206개 4년제 대학의 올해 정시모집 지원현황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수도권은 평균 경쟁률 4.8대 1인 반면 지방대학은 2.7대 1로 나타났다. 지역거점 국립대조차 대부분 지난해보다 경쟁률이 떨어져 평균 3대 1을 겨우 넘는 수준이다. 그나마 충북대는 4.27대 1을 기록했지만 지난해 5.65대 1에서 큰 폭으로 하락했다.

정시에서는 수험생이 가·나·다군에서 1곳씩 모두 3번 원서를 낼 수 있다. 중복으로 합격한 학생들이 다른 대학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고려하면 정시에서 평균 경쟁률이 3대 1이 되지 않으면 일반적으로 ‘미달’로 간주한다. 학령인구 감소로 대학 경쟁률이 떨어질 것이란 예상은 했지만 지방 소재 대학에 집중된 셈이다. 지방대학의 소멸 위기감이 피부로 와닿는다.

학생들이 수도권을 선호하는 이유는 딱 하나다. 지역불균형이다.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모든 분야가 수도권에 집중된 탓에 ‘좋은 일자리’ 또한 수도권에 몰려 있다. 지역인재들이 수도권으로 빠져나가는 이유다.

역대 정부가 국토균형발전을 외치며 이런저런 정책을 폈지만 효과를 거두지 못하면서 수도권 집중은 오히려 심화됐다. 그러다 보니 지방대생은 졸업 후에도 양질의 일자리를 찾아 서울 등 수도권으로 떠난다.

더욱이 학령인구 감소로 수도권 대학만 살아남고, 신입생 모집에 난항을 겪는 지방대학은 폐교를 가속화할 것이란 의견이 지배적이다. 올해 대학정원은 47만9천12명인데 비해 지난달 수능을 본 인원은 42만1천34명에 불과했다. 대학정원 대비 신입생 자원 역전 현상이 처음으로 발생한 것이다. 오는 2025년에는 수능인원이 현재 입학정원보다 10만3천명 정도 부족하다. 전문가들은 이런 추세가 지속되면 15년 후에는 4년제 대학 절반 가까이가 존폐 위기에 처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국민의힘 부산시당은 13일 지방대학의 위기에 대한 정부의 대책을 요구하는 성명을 냈다. 이들은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정부가 서울의 주요 사립대 9곳에 지방거점 국립대 9곳보다 더 많은 재정과 예산을 지원해 지역 불평등을 키우고 있다는 점이 드러났다”며 “지방대의 몰락은 지방 경제를 침체에 빠뜨리고, 곧 지방 소멸로 이어져 국가균형발전도 함께 사라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타당한 지적이다.

정부는 정원 충원율로 대학을 평가해 재정지원을 한다. 애초 지방대학은 평가가 높게 나올 수 없는 구조여서 차별을 받고 있다. 이보다는 지역의 공공기관 기업체의 지방대생 우선 채용 등 지방대의 경쟁력을 키우는 해법 마련에 집중해야 한다. 정부와 지자체가 함께 지방대학의 효율적인 육성방안을 강구하는 게 시급하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