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연구원 연구위원

[충청매일] 얼마 전, 앞을 보지 못하는 시각장애인과 함께 어떤 강의를 듣게 되었다. 이분은 앞이 보이지 않지만 비장애인 못지않게 강의를 따라왔으며, 다른 사람들의 이야기를 공감하고, 그 이야기에 대한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충분히 표현을 했다. 시각장애인을 위한 노트북을 사용하여 단톡방에도 글을 올리고, 또 다른 사람들이 쓴 글도 읽었다. 다음은 그 시각장애인이 들려준 소중한 이야기이다.

“2014년 어느 겨울이었습니다. 퇴근길에 정신없이 (시각장애인을 도와주는)활동지원사와 함께 뛰어가서 마을버스를 탔습니다. 퇴근 시간이라 버스는 만원이었고, 저와 활동지원사도 더 이상 뒤로 가지 못하고 교통카드 단말기 주변에 자리를 잡고 서 있었습니다. 그런데 어떤 분이 사람들에게 밀려서 미처 버스요금을 결재하지 못하고 뒤로 밀려나게 되었나 봅니다. 그분은 저의 활동지원사에게 자신의 카드를 건네주면서 대신 결재를 부탁하였습니다. 활동지원사는 흔쾌히 그 카드를 건네받다가 순간 놀랬다고 합니다. 건네받은 신용카드는 보통 카드와는 달리 많이 쭈그러져 있었기 때문입니다. 마치 난로에 가까이 두어서 구불구불 쭈그러진 그런 느낌이었습니다.

이날의 그 쭈그러진 카드와 그것을 건넨 어떤 분이 제 심장을 무척 뛰게 하고 감동을 주었습니다. 보통은 카드가 많이 쭈그러지면 새 카드로 교체할 터인데, 그분은 쭈그러진 카드를 있는 모습 그대로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그 카드 또한 모습은 볼품없었지만 여전히 제 역할을 하고 있었던 것입니다.

저는 20대에 실명(失明)하여, 인생에서 무척 인정하기 힘든, 장애의 경험을 하게 되었습니다. 그 쭈그러진 카드가 마치 나의 모습과 비슷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실명으로 인해 앞이 보이지 않는 저의 모습이 쭈그러진 카드와 비슷하게 느껴졌습니다. 그런데, 그 카드는 교통카드 단말기에 접촉하여 자신의 역할을 ‘삑~’ 소리와 함께 잘 수행한 것입니다. 저의 삶을 이 카드에 투영하여 생각해 보았습니다. 상상도 하지 못했던 실명으로, 앞을 보지 못하는 삶을 패배와 절망 가운데 살아갈 것인가? 아니면 장애를 삶에서 기꺼이 수용하는 용기를 내어 선물로 삼을 것인가? 에서 저는 후자를 선택하였습니다. (중략)

그런데 제가 실명이라는 장애를 기꺼이 수용할 수 있는 용기를 내기까지는 저 혼자의 결단과 노력으로만 걸어 온 것은 아닙니다. 사랑하는 가족, 공동체, 친구들을 비롯하여 사회 속에서 수없이 스쳐갔던 함께해준 손길들, 그리고 국가가 있었습니다. 쭈그러진 카드가 ‘삑~’하고 내는 그 소리는 우리 장애인 동료들, 아니 세상을 살아가는 모든 이들이 연약함이 있더라도 혼자가 아닌 함께 더불어 관계하며 살아가고 싶어서 내는 용기있는 소리가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쭈그러진 카드를 다른 사람에게 당당하게 보여 줄 수 있는 그 사람의 용기, 자신의 존재감을 알리고 역할을 충분히 해내어 ‘삑~’하고 소리를 낼 수 있는 세상! 이렇게 서로 상호성을 가지며 함께하는 ‘나와 너’로 존재하는 세상의 어느 한 사람이 되고 싶습니다.”

필자가 만난 시각장애인은 이 이야기를 카톡을 통해서 함께 강의를 듣는 모든 이에게 전달해주었다. 그리고 여기저기서 카톡 알림음이 그 어느 때 보다 크게 울려댔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