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매일] 대한민국의 고용상황이 최악으로 상황으로 몰리고 있다.

코로나19 발생 여파로 인한 고용절벽이 현실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서비스업 중심으로 시작된 고용 위기는 제조업 등 산업전반으로 번지고 있어 우려가 깊어지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가 국내 기업 301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이들 기업 중 40.5%가 코로나19로 매출이 감소해 고용조정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이 중 실제 인원을 감축한 기업도 9.0%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채용 일정에 대해서는 ‘채용 일정을 미뤘다’는 기업이 31.2%, ‘신규채용을 포기’한 곳이 무려 19.3%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 기업의 절반가량이 채용을 유예하거나 포기했다는 얘기다.

무엇보다 신규채용을 포기하고 기존 인력까지 감축한 기업들도 상당수여서 앞으로의 고용시장을 더욱 어둡게 하고 있는 현실이다.

올 초 발생한 코로나19의 확산세가 잠시 주춤하면서 사회적 거리두기가 생활 속 거리두기로 전환하고, 국가적인 재난지원금 지급 등으로 경기가 다소 회복되는 듯 했다.

하지만 코로나19가 재확산세로 돌아서면서 앞으로의 고용시장도 더욱 얼어붙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지난달 통계청이 발표한 지역별고용조사에 따르면 지난 상반기 코로나19로 인한 충격이 고스란히 나타났다. 서울을 제외한 9개 광역자치단체 기준으로 취업자수는 32만 1천명이 감소했고, 실업자는 4만 2천명이 증가했다.

무엇보다 취업자와 실업자수를 합친 경제활동인구는 무려 35만3천명이 감소해 코로나19 발생으로 인해 일자리 찾기를 포기한 인구가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다는 것이 더욱 문제다.

경력단절 여성이나 노인들이 취업시장에 발을 들여놓기가 더더욱 어려워 졌으며, 대학 졸업을 앞두고 있는 청년들이 일자리 찾기를 포기하는 양상이 두드러지고 있다는 얘기다. 실제 실업체감도를 보여주는 청년 확장실업률은 26.8%로 역대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는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확실한 코로나19 백신, 치료제가 나올 때까지 취업자 감소세가 계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정부는 ‘한국판 뉴딜’을 통해 향후 2025년까지 160조원을 투입해 일자리 190만개를 창출하겠다고 발표한바 있다. 또 고용노동부는 고용 유지, 실업자 및 취약계층 생계와 일자리 지원, 실업자 재취업 등 금년 중에만 12조원의 예산을 투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대규모로 투입되는 일자리 예산이 실제 일자리 창출로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현재 대다수 기업들이 순환휴직, 고용유지지원금 등의 제도를 활용해 버티고 있지만 소비위축과 생산둔화가 본격화 되면 이마저도 바닥을 드러낼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에서 총규모, 총사업비 등으로 내놓은 일자리 대책에 대해 공감할 수 있는 국민들은 얼마나 될까.

정부는 코로나19로 인한 고용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현실감 있고 구체적이고 실행 가능한 특단의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