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매일] 올 초 코로나19가 전국적으로 확산될 때 많은 외국인 근로자가 감염을 우려해 본국으로 돌아간 후 입국 제한 및 지연으로 입국자 수가 대폭 줄어 농번기 대규모 인력이 필요한 농촌에서는 일손 구하기가 더욱 어려워졌다. 그나마 농업 분야 취업자 수가 지난해보다 약간 증가했으나 수요가 많은 분야에서는 대부분 임시근로자나 일용근로자 수준이어서 코로나19 발생 이후 농번기 노동력 부족 현상은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대부분의 농작업은 농번기, 즉 봄철 파종·정식기(4~6월)와 가을철 수확기(9~11월)에 일시적이고 대규모로 이뤄지므로 이 시기가 감염에 취약하고 확산될 우려가 높아 농작업 시 거리두기와 마스크 착용 등 철저한 개인 위생 관리가 필요하지만 현실은 그리 녹록지 않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년 대비 인력 수급 어려움 정도를 보면 3월 39%, 4월 43%, 5월 59%로 농번기가 가까워질수록 더욱 어렵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아졌고, 품목별로 구분하면 인력 수급의 어려움 정도는 밭작물과 과수, 과채류 등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인력 부족은 인건비 상승으로 이어져 농업인들은 인력 수급에서 이중고를 겪고 있는 셈이다. 코로나19로 앞으로 농촌에서 인력수급 문제는 계속 대두될 것이다.

수요는 많지만 공급이 부족한 농촌 일손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방문동거 비자제도’, ‘계절 근로자 비자제도’ 등을 이용해 농업 분야 고용 안정을 추진하고 있지만 코로나19로 인한 입국 제한과 제도에 대한 낮은 인지도, 감염 우려 등으로 활용도가 떨어지는 편이다. 농촌 일손의 40% 이상을 차지하던 외국인 노동자들이 입국하지 못하고 있어 코로나19 치료제의 빠른 개발 및 실용화가 어느 때보다 절실하게 요구된다.

향후 농촌 일손 부족 경감을 위해서는 공공·민간 부문이 합심해 가용인력을 최대한 확보하고 인력이 필요한 농업인들과 일자리를 희망하는 분들을 연결하는 일에 더 노력을 해야 한다.

예를 들면 충북도에서 전국 최초로 도입 시행 중이며 국민 공감 우수사례로 선정된 ‘생산적 일손 돕기’ 사업이나 인력난을 겪는 농촌에 단기 일자리를 찾는 구직자를 연결해 주는 서울시 ‘농촌 일손 교류 프로젝트’ 사업 등이 좋은 호응을 얻고 있어 농촌 인력난 해소를 위해서는 지역 여건에 맞는 시책을 적극 도입하거나 개발할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