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태는 경제·교육·문화 등 많은 분야에서 우리 일상을 근본적으로 흔들고 있다. 특히, 100년 전 대공황 위기와 견줄 만큼 세계 경제를 비롯한 국내 경제는 급격히 붕괴되고 있는 상황이다.

공장들이 생산을 중단하고 실업자가 급속도로 증가하는 등 올해 국내 GDP 성장률은 IMF이후 처음으로 마이너스 성장을 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코로나19 발생 초기 서비스업 위주로 나타났던 산업 위기가 기간산업과 국가 주력산업 등 제조업 전반으로 확대되고 있는 것은 심각한 일이다. 무엇보다, 국가 전반의 경제의 위기와 더불어 지역경제 상황이 더욱 심각해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 것은 간과할 수 없는 부분이다.

앞으로 수도권-비수도권과의 격차가 더욱 확대되고, 특히 지역 산업구조가 상대적으로 취약한 지역일수록 더욱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더 이상 ‘지방소멸’이라는 위기가 먼 훗날의 이야기가 아닌 것이 됐다.

코로나19 발생 초기, 중국에서 온 우한교민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지역방역의 새로운 표준모델’을 제시하며 전국적 주목을 받기도 했던 충북 진천군의 사례가 눈길을 끌고 있다.

진천군은 당시 교민 수용으로 인한 혹시 모를 감염증의 지역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각종 방역 대책을 면밀히 추진해 왔으며, 방역활동 과정에서 축적된 노하우와 매뉴얼 등을 타 지자체에 적극 제공하기도 했다.

또 전국적인 마스크 수급 대란 속에서도 전 군민에게 2차례에 걸쳐 총 100만장 이상의 마스크를 신속하게 제공하고 방역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을 실시해 확진자 발생사례 없이 코로나19 청정지역을 유지해왔다.

이와 함께 교민수용으로 인해 위축될 수 있는 지역경제의 파급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해 7개 분야에 걸쳐 57개의 지역 안정화 과제를 발 빠르게 추진하며 ‘방역과 지역경제’에서 눈에 띄는 성과를 얻었다는 평가를 얻고 있다.

진천군은 지난해 기초단체로는 이례적으로 일자리 중심의 지역경제 성장전략을 발표하는 등 자치단체 주도의 자립발전 전략을 선제적으로 추진해온 것도 이번 코로나19 위기를 안정적으로 극복한 것과 무관치 않다는 평가다.

진천군은 현재에도 코로나19 이후 위축된 기업들의 투자와 악화된 고용환경을 극복하기 위한 지역차원의 대책 추진에도 발 빠르게 나서며 자생적 지역발전을 선제적으로 강구하고 있어 코로나19 이후 위축된 지역경제를 다시 부양해야 할 지방의 중소도시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대한민국 경제는 코로나19 위기로 인해 그 어느 때 보다 어려운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민들의 생활과 직결되는 지역경제가 견고히 받쳐줘야 국가차원에서 추진하는 각종 위기 극복 정책들이 탄력을 받을 수 있는 것은 당연한 얘기다.

앞으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를 비롯해 기업, 공동체, 개인 등 모든 국가 구성원이 ‘지역경제 부양’의 혜안을 갖고 코로나19로 촉발된 경제 위기를 극복할 수 있도록 더욱 힘을 모아야 한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견고한 국가적 방역시스템의 구축과 국민의 자발적인 협조로 ‘세계의 표준, K방역’이라는 국제적 찬사를 듣고 있는 대한민국이 지역경제 부양을 계기로 ‘K경제’의 모델을 보여주길 기대한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