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종운
충북지방중소벤처기업청
비즈니스지원단 상담위원

[충청매일] 우리는 지금 일제 강점기의 치욕을 회복하기 위하여 고군분투를 하고 있다.

일제침략기 일본의 강제징용 대한 인건비를 지금에 와서 법적으로 받을 권리가 있느냐 없느냐의 문제도 중요 하지만 한편으로는 우리의 자존심 회복이 필요한 것이다. 이렇듯 이제는 ‘설’의 명칭에서도 우리의 자존심을 찾아야 하겠다.

한 사회의 공동체를 하나로 묶어주는 것 중에는 그 공동체가 갖는 독특한 풍속이 있다. 공동체는 자신들의 풍속을 공유하면서 삶의 희노애락을 분출하기도 하고, 또한 강한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여 한 사회를 건강하게 지탱하는 원동력이 되기도 한다.

우리의 공동체 의식에는 ‘설’과 ‘추석’이라는 큰 양대 명절이 있다. 지금도 우리는 아무리 어려운 일이 있어도 명절에는 일가친척이 모두다 모여서 돌아가신 조상에게 제례를 올리고 일가친척의 우의를 다진다. 그 뿐만이 아니라 온 동네에 인심이 넘치고 서로가 덕담을 나누므로 우리 공동체의 결속이 다져진다.

그런데 아직도 ‘설’을 ‘구정’이라고 칭하는 사람이 있다. 심지어 TV공영방송에 출현하는 지식인들도 ‘구정’이라고 칭하는 한심한 사람도 있다.

본래 일제 강점기 이전에는 음력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우리 명절에 ‘신정’은 물론 ‘구정’이라는 단어 자체가 있을 수 없었다. 일제 가점기에 일본 제국주의자들이 우리 민족의 얼을 말살하기 위한 만행인 ‘민족말살정책’이 있었을 뿐이다.

그들은 당시 민족말살정책 중 하나로 우리 민족공동체의 응집력을 고취시키는 고유의 명절을 억제 하고자 혈안이 되었고, 우리 조상들은 ‘설’을 지키기 위하여 일본의 감시를 피해 새벽에 조상께 제를 올리는 등의 고군분투가 있었다.

이 과정에서 왜세에 의하여 양력 1월 1일을 새로운 설이라는 의미로 ‘신정’이라고 하고, 이와 비교하여 음력 1월 1일을 구시대적인 의미를 담아서 ‘구정’이라는 단어가 탄생하게 된 것이다.

이렇듯 ‘구정’이라는 단어에는 우리 민족이 왜세에 짖밟힌 치욕이 담겨 있다.

우리 민족 고유의 명절이 외세에 의하여 변질되는 것은 우리의 정서와 자존심의 심각한 유린이다. 그런데도 아직도 일부에서는 지식인이라는 사람들 마저 ‘구정’이라는 단어를 쓰고 있으니 참으로 한심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이제는 ‘구정’이라는 용어는 확실하게 버려야 한다. 그리고 ‘설’을 사용하여 우리의 강토를 찾은 것 처럼 우리 명절의 얼을 바로 찾아야 한다. 더이상 우리의 명절이 외세에 유린당하지 않아야 하겠다.

금년 설에도 우리는 고행을 마다하지 않고 즐거운 마음으로 고향을 찾아 민족의 대이동을 할 것이다. 이렇게 또 우리는 공동체의식을 강화하고 이것이 우리 사회를 건강하게 하는 초석이 될 것이다.

이번 ‘설’에는 우리 모두가 민족의 명절 자존심을 온전히 찾으면 좋겠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