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온이 높아지면서 식중독 위험성이 높아지고 있다. 충북지역은 지난해 충주지역에서 이질성 식중독으로 수백명의 학생들이 고통을 겪었다. 대개의 경우 식중독은 위생불량이나 불량식품에서 기인한다.

특히 불량식품 제조·판매행위만큼 사회의 안정성을 뒤흔드는 범죄도 드물다. 불특정 다수에게 안겨주는 불안과 공포가 그 어느 흉악범죄보다 크기 때문이다. 그 대상이 어린이일 경우 결과는 훨씬 치명적이다.

본보는 최근 청주지역 초등학교 주변에서 판매되는 식품들 가운데 상당수가 출처불명의 불량식품으로 어린이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고 고발한 바 있다. 실제로 대전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은 얼마 전 충북지역에서 어린이 부정·불량식품 제조업체 3곳을 적발했다. 그러나 식중독에 걸리고 안 걸리는 결과보다 제조·판매 행위의 과정이 사회를 더 혼란스럽고 위험하게 할 수 있다. 수백, 수천, 수만 명의 학생이 매일 불량식품으로부터 영양을 공급받아 몸속에 독을 저정하는 꼴이 되기 때문이다.

흔히 하는 농담 중에 ‘먹고 죽지 않으면 괜찮다’는 말이 있다. 지난해 학교 급식 후 발생한 식중독으로 전국의 수천 명에 달하는 학생이 병원 신세를 졌지만 다행히 목숨을 잃은 사례는 없었다. 그래서 ‘죽지 않았으니 괜찮다’고 여기는 것은 아닌지 걱정스럽기만 하다.

각종 사건·사고 가운데 일반인의 뇌리에 비교적 오래 남는 유형이 불량식품 사건이다. ‘먹고 사는 문제’ 만큼 사건의 파장이 미치는 대상이 광범위한 유형도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법의 규제 이전에 불량·유해식품 제조 및 판매 행위 자체가 살인에 버금가는 흉악범죄라는 사회적 인식이 정착돼야 한다.

불량식품 관련 범죄는 전형적인 후진국형 범죄다. 정부의 단속과 소비자단체의 감시보다 더 중요한 것은 학교 스스로의 노력과 정성이다. 학교 주변 불량식품에 대한 계도는 곧 학생들의 건강과 직결된다. 자기 집 주변에 불량식품 노점상들이 들끓는다면 어느 부모가 가만히 있겠는가. 자기 아이의 일이라면 부모가 나서고 학생들과 관계되는 일이면 학교가 나서야 하는 것은 너무 당연하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