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가 올 하반기 개원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는 충북도문화재연구원이 벌써부터 자생력 논란에 휩싸여 있다. 일선 시·군에서 발주하는 용역을 수주할 수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도문화재연구원이 제대로 운영될 수 있는가의 재정상 문제가 돌출한 것이다. 이 문화재연구원은 지표조사나 발굴조사 등에서 거둬들이는 수익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따라서 충북도내 시·군 발주 용역은 문화재연구원의 목줄을 죄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충북도는 지난 1월 문화재보호법 강화로 지표조사 등이 의무화되면서 각종 지표조사와 발굴조사 수요가 급증, 문화재 발굴 전문법인인 문화재연구원을 출범시키면 각종 사업추진의 적기 대처가 쉬울 뿐만 아니라 수익성에서도 문제가 없다는 판단이다. 사실 예전과 달리 최근에는 문화재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돼 문화재 존재여부가 각종 사업의 원활한 진행여부의 큰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청주지역에서도 비슷한 사례가 있었다. 청주시 상당구 율량동에 건설중인 중원관광호텔이 터 파기 공사 중 유물이 발견돼 발굴조사를 하느라 상당기간 동안 공사를 하지 못했다. 따라서 충북도가 내세우는 적기 대처는 일면 타당성을 갖는 듯하다. 그러나 이미 많은 단체나 연구소가 문화재 발굴 등과 관련해 활동하고 있는 상황에서 굳이 충북도가 문화재연구원을 설립할 이유가 있는지 묻고 싶다.

특히 자생력을 담보할 수 있다면 문제삼을 일이 아니지만 위인설관(爲人設官)으로 기구를 만들어 놓고 나중에 세금을 쏟아 붓는 결과가 나오면 어찌할 것인가. 그때 가서 “물릴 수 없다”며 운영비를 지원할 계획이라면 아예 그만두는 게 낫다. 문화재연구원이 시·군 발주 용역을 딸 수 없다면 다른 곳에서 일감을 찾아야 하는 데 기존 연구소나 단체의 틈새에서 제대로 시장 개척을 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충북도 출자기관인 충북개발연구원도 개원한 지 10년이 넘었지만 지금도 운영비의 일부를 충북도에서 받아쓰고 있다. 문화재연구원이 충북개발연구원의 전철을 밟지 않을까하는 우려의 본보기인 것이다. 따라서 독립기구를 만들기에 매달리지 말고 충북개발연구원을 조금 확대해 문화재연구원이 담당할 일을 맡기는 방안도 생각해 볼만하다. 이 때문에 문화재연구원 설립에 대한 신중한 재검토가 필요하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