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폭력 예방과 학생 상담 및 생활지도 업무를 전담할 전문상담교사가 오는 2학기부터 전국 182개 지역 교육청 및 산하기관에 배치된다.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면서 전문상담교사 정원이 올해부터 확보됐기 때문이다.

충북도교육청은 지난 15일 공개전형을 통한 전문상담교사 원서접수를 마감했다. 16명 모집에 18명이 지원, 1.2대 1의 낮은 경쟁률을 기록했다. 그나마 충북의 경우 다른 시·도의 미달 사태와 비교하면 양호한 편이다. 이 같은 현상은 응시자격을 전문상담교사 및 교도교사 자격증 소지자 등으로 제한한 데서 비롯됐다. 교육부가 대학에서 심리학을 전공한 뒤 교직이수를 통해 중등상담교사 자격증을 소지한 사람들에게 응시자격을 주지 않은 것도 크게 작용했다.

충북도교육청은 다음달 임용시험을 거쳐 16명의 전문상담교사를 선발, 9월 중으로 지역교육청에 배치할 방침이다. 학교에서 생긴 부작용은 흔히 과도한 교육열, 가족붕괴, 학교 유해환경 등 다른 사회적 문제와 맞물려 학교교육 병리현상의 원인이 된다. 선천성 질환, 각종 장애, 난치병, 정신건강 문제 등 학생 개인의 문제가 학교교육의 효율적 기능을 떨어뜨릴 때도 있다. 중요한 것은 이런 문제들이 방치되면 개인적 성장과 발달을 어렵게 만들어 결국 사회 부적응자로 전락시키는 단초가 된다는 점이다.

지금의 학교교육제도가 지니는 대량생산 교육체제는 학생들의 개인차를 고려하지 못할 때가 많은 게 사실이다. 또 대량생산 교육체제에서 어쩔 수 없이 나타날 수밖에 없는 획일화된 교육은 많은 부작용을 낳았다. 학습지진아(부진아) 발생, 학습 부적응 학생 양산, 교실붕괴, 생활지도 어려움 등은 지금도 학교 현장 곳곳에서 볼 수 있다.

얼마 전 사회문제가 됐던 일진회 폭력사태 역시 부작용의 한 예다. 이러한 요인들을 제거하고 해소하기 위해 선택된 방법이 전문상담교사 양성이다. 그런데 이렇게 좋은 취지의 제도 실행에 교사들이 몰리지 않고 있다. 훌륭한 교사들 가운데 선택된 탁월한 교사의 상담은 학생의 장래에 나비효과로 돌아올 수 있다. 교육부나 교육청은 이 점을 명심하고 차제에 제도나 방법, 홍보 등에 어떤 문제가 있는 지 다시 한 번 살펴보길 촉구한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