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지역의 도시규모가 날로 팽창되고 있다. 불과 20~30년 전만 해도 청주지역의 최대 상권은 성안길을 중심으로 한 인근지역에 국한돼 있었다. 그러나 지난 1980년대 초부터 대규모 지구단위 개발이 잇따라 추진되면서 청주지역은 몰라보게 달라졌다. 대부분 논밭이던 신봉동 운천동 복대동 가경동 용암동 개신동 등은 택지개발사업이 완료됐거나 마무리단계에 있어 상전벽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산남지구와 성화지구, 강서지구, 율량지구 등 대규모 택지개발이 추진되는 지역을 포함하면 청주지역은 그 규모나 개발 면에서 엄청난 발전을 가져왔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북문로와 남문로, 영동, 서문동, 문화동, 대성동, 우암동, 내덕동 등 중심상권을 자랑하며 번성했던 옛 도심지역은 신흥개발지역으로 상권과 인구 이동이 급격해지면서 심각한 공동화 현상을 빚고 있다. 상인들을 중심으로 공동화 해소를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으나 유통환경이나 주거환경 등을 비교할 때 신흥개발지역과 경쟁력에서 뒤떨어질 수 밖에 없다. 문제는 이미 각종 상업·주거시설이 들어서 있어 재개발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점이다. 또 외곽지역 가운데 개발이 이뤄지지 않는 유일하다시피 한 지역인 상당구 월오·방서동 일대와 흥덕구 휴암·수의동 일대 등 신흥개발지역과 맞붙은 지역 주민들은 청주지역의 발전상을 목도하면서 상대적 박탈감에 빠져 있다. 더욱이 화장장과 소각장 등 각종 혐오시설이 입주예정이어서 다른 신흥개발지역처럼 탈바꿈을 기대하기도 어려워 주민들의 불만이 크다. 개발격차에 대한 주민들의 불만은 지방행정에 대한 불신과 주민간 위화감으로 번져 자칫 주민화합과 지역발전을 해치는 걸림돌이 될 수도 있음을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선 청주시 등 지방자치단체나 경제 관련 기관 등의 관심과 정책적 배려가 필요하다. 재개발이나 택지개발 등 대단위 지형적 개발이 아니어도 지역 특성에 맞는 유통·교통·거주환경 개선이나 특화개발 등 정책적 지원을 통해서도 얼마든지 개발효과를 추구할 수 있다. 모든 시민이 균등하게 지역발전의 수혜자가 될 때 비로소 ‘행복한 청주’건설은 이뤄질 수 있는 것이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