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매일] 이방주수필가북쪽으로 삿갓봉이나 작두산 쪽으로 가면 성의 끝부분이 나오는데 이곳이 북문지라고 한다. 이곳에 저수시설이 있었다고 전해지지만 지금은 희미한 웅덩이만 남았다. 여기서 계곡으로 내려가면 비교적 완만하게 금강에 이를 수도 있으니 저수시설을 둘만하다. 남동쪽에서 현암사로 내려가는 길목에는 경사면을 다듬어 평탄하게 고른 부분이 있다. 이곳의 낙엽이나 잡초를 헤치면 토기편이 나온다. 토기는 사람이 살았던 흔적이고 토기의 제작 시기가 곧 축성의 시기와 관련이 있으므로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성의 크기로 보아 소대 정도의 소수 병력이 주둔했을 것이다. 계족산성의 자성(子城)인 고봉산성, 질현성, 마산동산성 등에 이어지는 산성의 고리 중 하나일 수도 있다. 누군가 보루일 가능성을 말하기도 하지만 보루라기에는 너무 크다. 이 성이 계족산성에 사령부를 둔 백제의 최전방이었다면, 삼년산성에 사령부를 두고 아미산성 호점산성으로 공격해오는 신라의 산성들과 대치하는 역할을 했을 것이다. 현암사 안내판에 보면 임진왜란 때 이여송이 구룡산의 정기를 끊으려 했다는데 삼국시대의 성으로 임진왜란 때까지도 요새였던 것 같다.

남쪽 성벽 바로 아래로 대청댐 수문이 있다. 대청댐이 완공되기 이전에는 청주에서 문의를 거쳐 신탄진, 대전으로 가는 버스가 다니는 도로가 있었다. 오가리에 나루터도 있어 청주 근방의 학교에서 소풍지로 많이 이용했었다. 옥천에서 내려오는 금강은 현암사로 달려들 듯이 내려오다가 오가리에서 직각으로 꺾여 서쪽으로 내려가 신탄진을 지나 부강 합강에서 미호천과 합치고 공주, 부여로 흘러가 백마강이 된다.

오가리에서 이 성에 오르는 길은 짧지만 매우 가팔라서 쉽지 않다. 그 대신 전망은 그만이다. 한 발만 떼면 대청호에 풍덩 빠질 듯이 아찔하면서도 시원하다. 구룡산성을 지나 삿갓봉에 오르면 멀리 백골산성 너머 고리산성이 보이고, 계족산성, 성치산성, 노고산성, 견두산성, 질현성, 고봉산성의 산줄기가 다 내려다보인다. 남으로 옥천과 대전의 경계인 식장산까지 바라볼 수 있다. 북으로 삿갓봉에서 작두산을 지나면 바로 양성산성으로 연결된다.

구룡산성의 돌탑은 과연 누가 쌓았을까? 어떤 이는 이곳이 민간신앙의 장소가 되고 있다고 하여 돌탑을 인정하는 분위기이다. 그렇지만 그렇게 볼 수 있는 근거는 없다. 그렇다고 예술 작품이라고 보기에는 너무 조잡하다. 내가 보기는 그냥 산성을 허무는 행위이다. 문화유산은 관청의 노력에 의해서만 보존되는 것은 아니다. 관에서도 관심을 두어야 하지만 지역주민 모두가 문화재 보존에 대한 교양을 갖추어야 한다. 훼손되는 구룡산성을 보면서 안타까운 마음 금할 길 없다. 

산성을 뒤로 하고 삿갓재로 향한다. 한 때 부당한 권력이 이곳에 청남대를 지키는 초소를 만들고 군인들을 주둔시키는 바람에 등산이 금지되기도 했었다. 삿갓재 등산이 허락된 것도 얼마 되지 않은 일이다. 오가리에서 올라오려면 철책으로 길을 막았던 흔적이 아직도 남아있다. 진장골로 내려가는 길에는 온갖 장승이 줄을 이었다. 성행위를 상징하는 해학적인 장승들이 옛일을 비웃듯이 자유스럽다.

돌탑에 저녁놀이 서글프다. 하루빨리 구룡산성이 역사적 고증을 거쳐 안내 표지판이라도 세워지기를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