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가 건교부의 전국 7개 중소도시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 해제정책과 내년 오송국제바이오엑스포 개최를 위해 올해 연말까지 도내 그린벨트 전면해제를 마무리짓기로 한 가운데 토지별 용도분류를 놓고 민원이 제기될 우려가 높다.

충북도는 도내 청주권 그린벨트 구역으로 묶여 있는 청주시 72.37㎢과 청원군 107.73㎢ 등 180.10㎢의 연내 전면해제를 추진중이다.

이밖에 청원 26.90㎢와 옥천군 29.70㎢ 등 56.60㎢는 대전권 그린벨트로 대전시 도시정비계획에 따른 부분해제를 앞두고 있다.

충북도의 경우 2002년 오송국제바이오엑스포 행사장으로 옛종축장부지(청주시 상당구 주중동)을 이미 확정한데다 2005년까지 0.59㎢ 규모의 밀레니엄타운 본격 착공을 앞두고 있어 그린벨트 해제에 가속도를 붙이고 있다.

그러나 이번 그린벨트 해제가 환경영향평가 등을 고려해 1∼5등급까지 나뉘어 토지별 용도가 정해지고 이 가운데 1∼3등급은 보전녹지와 생산녹지, 공원 등 보전지역으로 계속 남게되는 반면, 4∼5등급은 자연녹지로 분류해 지정된 도시계획에 따라 개발될 예정이어서 해당 지역 주민들의
희비가 엇갈릴 전망이다.

현재 충북도는 1∼3등급의 비중을 60%로, 4∼5 등급은 40%로 분류할 계획이다.

또 대전권 광역도시계획에 해당하는 청원 일부지역과 옥천의 경우 60%가 1∼2 등급으로 개발제한구역으로 남게되고 존속 또는 해제대상인 3등급은 25%, 해제 대상인 4∼5등급은 15%에 불과할 것으로 보여 보존지역으로 남는 지역 주민들의 거센 반발이 예상된다.

현재 충북도는 지역별 그린벨트 해제 등급을 마무리 짓지 않고 있으며 청주시의 도시개발 기본계획과 재정비 등에 따라 다음달 중 최종 확정될 것으로 보인다.

충북도 관계자는 “정부의 환경영향평가 등에 따라 해제 등급이 지정되는 만큼 주민들의 반발이 크지 않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으나 같은 행정구역 내에서 개발과 보존이 엇갈릴 경우 보존지역 주민들의 반발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한편 그린벨트해제는 지난 99년 7월 건설교통부가 전국 14개 도시권 도시계획수립과 구역조정 정책의 일환으로 확정됐으며 서울, 부산, 대전 등 7개 대도시는 부분해제, 청주와 춘천, 진주 등 7개 중소도시는 완전해제로 추진돼 왔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