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도시 건설, 공공기관 지방이전계획에 따라 대한민국의 지형도가 바뀔 것으로 보인다. 영양가 있는 기관이나 시설, 업체 유치는 이제 지역의 생명줄이 됐다. 따라서 지역 간 첨예한 신경전을 벌이는 단초가 되기도 한다. 공공기관·시설의 유치는 우선 정부의 대국적 안목에 의한 공정성이 절대적이다. 그 다음 해당 자치단체의 결사적인 노력이 있어야 가능하다.

충북도는 정부의 공공기관 이전 발표를 앞두고 파급효과가 큰 이른바 ‘빅5’ 기관 잡기에 나섰다. 도내 각 시·군의 의견을 수렴해 정부에 도로공사와 주택공사 등 54개 공공기관의 유치 희망 의사를 전달했다. 이원종 충북지사는 지난해 9월부터 최근까지 노무현 대통령, 이해찬 총리와 균형발전위원회 등을 방문해 혁신도시 건설과 공공기관 이전에 특별배려를 건의하기도 했다.

충북은 1차적으로 한전과 주공 등 이전효과가 큰 대형 공공기관의 이전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 한전의 경우 직원 1천100명에 연간매출액이 29조5천억 원에 달한다. 토지공사 또한 800여 명의 직원에 매출이 6조 원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유치를 희망하는 곳은 충북뿐만이 아니다. 충북 외에 강원·경북·경남·전북·전남·제주 등도 군침을 삼키고 있다. 강원도나 전북도는 낙후지역이란 이유로, 경북은 인구와 행정구역이 넓다는 조건 등을 내세우며 올인하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 충북은 오히려 ‘각개전투’에 급급해 전체적인 유치 타당성 논리전개에 소극적이 아니냐는 지적을 받고 있다. 하지만 아직 충북의 대규모 공공기관 유치 가능성은 비교적 높은 편이다. 요소 요소에서 벌어질 실질적인 전투가 많이 남았지만 잘 싸우면 된다. 경쟁상대인 다른 자치단체들을 힘과 논리에서 완전히 제압해야 한다. 이 과정 동안 정치권의 개입도, 중앙정부 인맥을 동원한 농간도 있을 수 있다. 잘 살피고 대처해야 한다.

몇 개의 알짜 공공기관 유치는 충북의 사활을 결정한다. 민·관·정의 결속을 다시 한 번 촉구한다. 호남고속철 분기역도 예외가 아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