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재·부품·장비 분야, 국고사업과 연계해 기술 확보 도모

[충청매일 최영덕 기자] 일본이 한국을 백색국가에서 제외하고 수출규제를 적용하면서 교육부가 국고사업과 연계해 5천억원 이상을 대학 원천기술 개발에 집중 지원한다.

소재와 부품, 장비 분야 기술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이 같은 내용이 포함된 ‘대학혁신 지원 방안’을 발표했다.

교육부는 일본 수출규제로 확보하기 어려워진 소재·부품·장비 분야를 두뇌한국(BK)21 후속사업 등과 연계해서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연구인력을 늘리기로 했다. BK21은 대학원 연구 지원 국고사업으로, 올해 예산은 2천724억원 규모다.

해당분야 산학협력도 강화한다. 교육부는 2021년 대학기본역량진단 지표와 사회맞춤형산학협력선도대학(LINC+) 후속사업 등과 연계해 핵심인재를 양성하기로 했다. 특히 3~4학년 대상 융합전공 과정을 신설하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올해 LINC+사업 예산은 2천300억원 수준이다.

융합전공 신설 분야는 지난해 관계부처가 정한 ‘혁신성장 전략투자 방향’에 따라 데이터·블록체인·공유경제·인공지능(AI)·수소경제 등 플랫폼 경제 3대 분야에 주력한다.

다음으로 △자율주행·친환경 자동차 △바이오 헬스 △스마트팜 △드론 △스마트공장 △핀테크 △에너지 신산업 △스마트 시티 등 8대 핵심선도산업 △비메모리 반도체 △미래형 자동차 △바이오산업 등 3대 중점육성산업 등도 연계·융합전공 대상이다.

교육부 김규태 고등교육정책실장은 “상황이 시급한 만큼 이번주 중이라도 관련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협의체를 꾸려 수출규제 대응 관련 구체적인 인력양성 방안과 국고사업 연계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교육부는 또 4차 산업혁명 유망분야 인재양성을 위해 교육과정과 교육방법, 교육환경을 개선해 나가기로 했다. 이를 위해 기존의 학과·전공별 칸막이를 낮추고 융합학과 설치 요건도 완화할 계획이다.

대학이 자율적으로 계절수업을 정식학기로 하는 다학기제와 유연학기제를 비롯해 입학 전 다른 학교와 연구기관, 산업체 등에서 쌓은 학습경험을 학점으로 인정하는 등 유연한 학사제도를 안착시키기로 했다. 교육부는 대학에 컨설팅을 실시하고 중·장기적으로는 학사운영 관련 규제를 근본적으로 개선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교육부는 지역 맞춤 인재를 양성할 수 있도록 지역대학과 지자체 간 사업단에 대규모 재정을 투입할 계획도 갖고 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