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0년대 유행처럼 등장했던 중·고등학교 중심의 교내 불량서클이 또다시 활개를 치고 있다. 충북 보은의 모 중학교에서 지난 3일 집단폭력사태가 발생, 일부 학생의 고막과 각막이 파열돼 아직까지 입원치료를 받고 있다. 지난 2003년에도 비슷한 일이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학교측의 대응은 예나 지금이나 미온적이다. 학교측은 그동안 기회 있을 때마다 학교폭력을 근절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학교 폭력은 겉으로만 사라졌을 뿐 실제로는 지금도 독버섯처럼 자라나고 있다.

등·하굣길에 상급생에게 용돈을 빼앗겼다거나 집단 구타당했다는 일은 이제 별다른 주목을 끌지 못한다. 인터넷과 함께 첨단화된 새로운 학교폭력에는 아예 무방비 상태다. 부산에선 오는 5월부터 7개 초·중·고교에 제복 입은 전직 경찰이 학교폭력에 대응하는 ‘스쿨 폴리스제’가 도입된다고 한다. 교내에 학교경찰이 상주해야 할 만큼 학교폭력이 심각해질 때까지 교사와 학교는 무엇을 하고 있었는가. 이 기회에 일선 교육청을 비롯해 자치단체, 검찰과 경찰 모두 한 마음이 돼 학교폭력 근절에 나서야 한다.

불량서클 등을 통한 학교폭력은 대물림이 큰 특징이다. 불량서클은 학교 선후배를 중심으로 철저한 위계질서를 중시한다. 그래서 속칭 ‘조폭’전 단계의 특성을 띠는 게 특징이다. 특단의 조치가 이뤄지지 않는 한 교내에 계속 이어진다. 학교측은 이런 사실을 잘 알고 있다. 그런데도 학교측은 사건이 발생할 때마다 원인분석과 대안마련보다 은폐나 축소에 더 신경을 쓰고 있다. 학교폭력사태가 사회문제로 이어질 경우 대외적 이미지 실추가 너무 크다는 이유에서다. 그러나 사건의 은폐나 미온적 대처는 해를 거듭할수록 폭력의 희생자를 양산할 수밖에 없다. 결국 더 심각한 피해를 불러오게 된다.

정부는 3월과 4월을 ‘학교폭력 자진신고 및 피해신고 기간’으로 정했다. 하지만 가·피해자 스스로 신고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교사가 나서줘야 한다. 사도(師道)를 발휘해 막아 줘야 한다. 불량서클의 학생폭력이 무서워 책임을 방기하는 교사라면 굳이 교직에 남을 이유가 없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