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매일]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 출생 인구)의 은퇴가 본격화되면서 고령층의 소득보전이 새로운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이들은 국가 경제발전의 주역이면서도 자신들의 노후 준비에는 소홀할 수밖에 없었던 세대다. 먹고 살기에 바빴고, 자녀 교육에 허리가 휘었다. 노부모를 보살피며 살았지만, 세태 변화로 정작 본인들은 자식들의 봉양을 받기 힘든 세대이기도 하다. 국가의 연금혜택은 빈약해 은퇴 후에도 일하지 않으면 궁핍한 삶을 벗어나기 힘들다.

통계청이 발표한 ‘2019년 5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고령층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고령층(55∼79세) 10명 중 6명이 일자리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래에도 취업하기를 원하는 고령층 비율은 64.9%로 1년 전보다 0.8%포인트 증가했고, 관련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2005년 이래 가장 높다. 실제 고령층 고용률도 55.9%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0.7%포인트 올랐다.

취업을 희망하는 사유로는 ‘생활비에 보탬’이 60.2%로 1위를 차지했고, 전년 대비 상승폭도 1.2%포인트나 된다. 반면 ‘일하는 즐거움’을 꼽은 비율은 32.8%로 비율이 1.1%포인트 낮아졌다.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일손을 놓지 못하는 고령층이 늘고 있다는 반증이다.

더욱 큰 문제는 고령층의 일자리 대부분이 저임금에 허드렛일뿐이어서 기대 소득을 채우지 못한다는 점이다. 은퇴자는 대부분 연금으로 안정적인 소득을 보전 받고 싶어 한다. 그러나 현실의 연금은 용돈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지난 1년간 공적연금, 개인연금을 받은 고령층은 635만8천명으로 전체의 절반도 되지 않는 45.9%에 불과했다. 그나마 연금 수급자의 67.3%는 월평균 50만원 미만으로 기초생활수급비(1인 가구 기준 51만2천100원)에도 못 미친다.

보험개발원의 ‘2018 은퇴시장 보고서'에 따르면 은퇴자들은 은퇴 전 소득의 64.3%를 바란다. 하지만 실제 소득은 48.1%에 그쳤다. 이 격차만큼 추가 소득을 확보해야 하는 은퇴자들이 임시직이나 일용 잡부 등 직종을 가리지 않고 취업에 나서는 이유다.

우리나라의 노인 빈곤율은 부끄럽게도 오래전부터 세계 톱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발표한 2016년 기준 한국 노인(65세 이상)의 상대적 빈곤율은 45.7%로 36개국 중 1위였다. 이는 OECD 회원국 평균(13.5%)의 3.4배다. 노인 자살률도 세계 최고다. 인구 10만명당 58.6명(2015년 기준)으로 OECD 평균(18.8명)의 3배가 넘는 1위를 기록하고 있다. 노인들이 스스로 목숨을 끊는 원인은 외로움과 질병 등 다양하지만 빈곤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지자체마다 노인 일자리 사업을 펼치고 있지만 생계비를 충당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 고령화 사회를 맞아 중앙정부는 물론이고 지자체에서 민간기업과 협력해 질적으로 개선된 노인 맞춤형 일자리를 만드는 일에 앞장서야 한다. 은퇴자의 직업교육과 재취업 연계 활성화도 시급하다. 고령층의 삶의 질이 팍팍하지 않도록 우리 사회가 서둘러 고민해야 할 때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