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가 29곳 확진 판정·36건 의심 신고
확산 방지 총력…추가 발생 가능성 높아

[충청매일 장병갑 기자] 지난달 24일 충북 충주지역에서 발생한 과수화상병이 빠르게 확산되면서 충북지역 농가에 비상이 걸렸다.

첫 확진 판정을 받은 지 채 20일도 지나지 않은 12일 현재 모두 29농가가 확진 판정을 받았다. 충주시 21곳, 제천시 8곳 등이다.

충주는 주로 산척면 일대에서 발생했고 동량면, 종민동, 소태면에서도 확진 판정이 나왔다. 제천은 지난해 발생한 백운면을 비롯해 두학동, 봉양읍에서 화상병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면적은 충주 13.08㏊, 제천 7.01㏊ 등 총 20.09㏊에 달한다. 과수화상병이 확진된 과수원 중 16곳은 9.02㏊ 면적의 사과·배나무를 매몰 처리했다.

13곳(11.07㏊)은 현재 매몰 작업이 진행 중이다. 문제는 추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현재 접수된 의심 신고만 36건에 23.51ha이다. 충주 20건(12.31㏊), 제천 14건(10.24㏊), 음성 2건(0.95㏊) 등으로 현재 정밀 진단 중이다.

도 농업기술원은 과수화상병 확산 방지를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지난달 20일 의심 신고가 처음 접수된 이후 대책 상황실과 지역담당관제를 운영하고 있다.

화상병이 발행했거나 의심 신고가 접수된 충주시와 제천시, 음성군은 지난달 23일부터 종합 상황실을 마련하는 등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있다.

충북도 농업기술원 송용섭 원장은 “더이상 과수화상병이 더 확산하지 않도록 농가가 자율 예찰을 강화하도록 했고 확진된 과수원은 즉각 매몰 처리를 하고 있다”며 “농촌진흥청 등과 발생 경로에 대한 역학조사를 진행해 근원적 방제 체계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충북은 2015년 과수화상병이 처음 발생한 이후 지난해와 올해 발생이 증가하는 추세다.

농림축산검역본부가 조사한 결과를 보면 3~8년 전부터 감염된 묘목에서 병원균이 유입됐을 가능성이 높다.

병원균이 수년간 잠복해 있다가 발병 환경이 좋아졌을 때 발현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외부 기온이 25~29도일 때 병원균 증식이 활발해지고 나무의 조직이 약화 됐을 때 병원균이 활성화된다.

과수화상병은 사과, 배 등에 피해를 주는 세균병이다. 나무가 마치 그슬린 것처럼 갈색이나 검은색으로 말라 죽는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