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매일] 6월은 호국 보훈의 달이다. 6·25전쟁에서 국가를 위해 목숨을 바쳐 희생한 호국영령들의 애국 보훈의 높은 뜻을 기리는 6일은 의미있는 ‘현충일’이기도 하다. 

북한군의 남침으로 인해 나라가 풍전등화의 위기에 놓이자 죽음을 불사하고 그들에 맞서 싸우면서 목숨을 바쳐야 했던 우리의 젊은 호국영령들이 있었기에 현재의 국가가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을 국민 누구나 알아야 한다. 

아직도 찾지 못한 6·25참전 용사의 신원과 유골 등을 발굴하기 위해 정부차원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희생자 가족들의 애타는 마음에 비해서는 부족한 부분이 많아 안타까울 뿐이다.

역사가 없는 나라는 미래가 없다고 하듯이, 세계 경제선진국 반열에 올라선 대한민국의 보훈 정책은 호국영령과 참전유공자들의 희생이 헛되지 않도록 실효성 높은 정책을 펼쳐야 하겠다.

올해 초 국가보훈처는 현실에 맞는 보훈제도의 달라지는 보훈정책을 밝혔다. 저소득 고령 국가유공자 보상복지 강화를 비롯한 명패사업과 3·1운동 및 임정수립 100주년 기념사업의 본격 추진 등 국가유공자 예우 강화를 약속했다.

지난해 8·15광복절 기념행사에서 문재인 대통령도 독립유공자와 국가유공자에 대해 현 수준에 맞는 최대한의 예우를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애국선열이나 국가유공자에 대한 예우는 그들이 기대하는 만큼 이뤄지고 있지 않다는 게 불만 섞인 목소리다. 선진국 수준에 걸 맞는 예우를 해줘야 한다는 게 보훈 대상자와 국가유공자들의 주장이다.

특히 올해는 3·1운동 및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는 해이기에 그 의미는 더 뜻깊을 수밖에 없다. 나라의 독립을 위해 목숨을 바친 애국선열들의 고귀한 희생정신도 되새겨야 할 부분이다. 아직도 밝혀지지 않은 독립운동에 헌신했던 애국선열을 찾아내는 데 소홀해서도 안 된다. 

나라 잃은 설움을 절실히 느껴야 했던 독립 운동가들은 가족을 돌봐야 할 가장으로서 의무를 포기한 채 오직 빼앗긴 나라를 되찾고자 목숨과 희생을 담보로 일제의 총 칼에 맞서 싸우면서 목숨을 바쳤다.  

독립운동으로 목숨을 바친 애국선열들이나, 국가를 지키기 위해 희생한 6·25참전 호국영령들의 나라사랑의 구국 정신이야말로 그 누구도 쉽게 실천하기 어려운 높고 숭고한 정신으로 승화돼야 한다. 

자신들이 보호해야 할 가족들을 뒤로 한 채 국가를 위기에서 지키고자 분연히 나섰던 선열들의 애국정신은 현재의 국민이나 자라나는 학생들에게 표본으로 삼아야 하는 나라사랑 정신이다. 그러니만큼 그들에 대한 티끌만큼의 오해나 불신이 있어서도 안 된다. 

국민은 한결같은 마음으로 국가를 위한 충성을 쉽게 말한다. 그러나 행동으로 선뜻 실천하기는 쉽지 않다는 게 우리 모두가 느끼는 현실이다. 그렇게 하려면 자신의 모든 것을 포기해야 하는 각오가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일제의 찬탈로 빼앗겼던 나라를 찾기 위해 독립운동을 벌이며 목숨을 바친 애국선열들의 국가관의 열정을 잊어서는 안 된다. 

그런 애국선열들의 후손을 국가와 국민 모두가 보듬어 주는데 인색하지 말아야 한다. 6월 6일 현충일뿐만 아니라 평소에도 애국선열들과 호국 영령들의 높고 숭고한 희생정신을 기려 본받아야 하겠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