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방주
수필가

[충청매일] 부강 노고산성은 그 아래를 지날 때마다 ‘한 번 가야지’ 생각만 했는데 오늘은 카메라만 들고 출발했다. 부강 약수터 주차장에 차를 세우고 바로 산에 붙었다. 등산로가 잘 정비되어 있다. 청원군이 정비해서 세종시에 헌납한 셈이라 생각하니 좀 아깝기는 하다.

입구에 고구려산성길 탐방이라고 적혀 있어서 의문이 일었다. 정말 고구려 산성으로 고증된 것일까. 고증했다면 역사를 통해서인지, 축성방식을 통해선지 궁금하다. 대개 고구려의 남쪽 영역은 중원 고구려비까지만 인정한다. 고구려 최남단 산성은 중원고구려비 근방의 장미산성이라고 본다. 전형적인 고구려의 축성법을 따른 장미산성은 신라나 백제 산성과 많이 다르고 오히려 중국의 동북삼성에서 발견되는 산성과 상통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장미산성의 가장 큰 특징은 겉 쌓기와 속 쌓기 방법으로 축성했다는 점이다. 겉 쌓기는 돌을 삼각형이나 사다리꼴 마름모꼴로 다듬어 이른바 견치석으로 맞물리게 하여 견고할 뿐 아니라 혹시 겉벽이 무너지더라도 속벽은 남아 있도록 했다. 노고산성이 고구려산성이려면 장미산성과 축성방법에서 동일해야 한다.

노고산성의 인근에 있는 남성골 산성에서 고구려 유물이 많이 발견되었다고 한다. 그 결과 5세기 후반의 고구려성으로 규정했다고 한다. 발굴조사 결과 고구려 축성법을 따랐다 하니 고구려산성이라 할만하다. 이를 근거로 고구려가 장수왕 때 이곳까지 영역을 넓혔다고 보는 역사가도 있는 것 같다. 그렇다고 노고산성, 애기바위성, 화봉산성을 모두 고구려산성길이라 규정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본다. 부강면민이 은근히 상대적으로 강대국이었던 고구려 사람이 되고 싶은 것은 아닐까 하는 느낌도 들었다.

고구려 산성을 자꾸 되뇌며 500m쯤 올라갔는데 어떤 남녀가 길가에 자리를 펴고 마주 앉아 있다. 혹시 산성을 짓는데 동원되었던 장정과 그의 정인情人은 아닐까. 이 사람들은 노역에 끌려온 남정네가 젊은 아내를 그리워하며 흘리던 눈물을 알까. 낭군을 기다리는 어린 아낙의 아픔을 알기나 할까? 온갖 상념에 젖었다. 성에 오를 때마다 나는 항상 동원된 민중의 고통을 생각한다. 노역에 동원되어 생업도 가계도 다 엉망이 되고 다치거나 죽은 사람들이 국가로부터 아무런 보상도 없었을 것을 생각하면 가슴 아픈 일이다.

한참을 올라가니 노고산성과 화봉산성으로 가는 갈림길에 노고산성과 애기바위성에 대한 안내 돌비가 나왔다. 부용면 주민자치위원회 명의이고 부용면장 이규상님이 쓰고 역사학박사 박상일님이 감수를 했다고 적었다. 내용을 요약하면 이렇다.

“해발 305m 노고봉(老姑峰)에 석축산성으로 둘레는 196m이다. 성내의 규모는 동서 방향의 길이가 70m정도이고 남북 방향의 길이가 42m 정도이다. 노고산성은 금강을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고 부강면 지역 10개 정도 산성의 중심적 위치에 있으며, 삼국시대의 토기와 기와조각이 발견된다.”

역사학자의 감수를 거쳤다는 말은 그 만큼 가치를 부여하고 싶었던 모양이다. 아쉬운 것은 노고산성에서 화봉산성에 이르는 길을 왜 고구려산성길이라고 했는지 언급이 없어 궁금하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